earticle

논문검색

북한산성 행궁과 『돈녕보첩』의 봉안

원문정보

Temporary Palace in Bukhansan Fortress and Enshrinement of Genealogical Documents of the King and Queen’s Relativ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이혜정

한국서지학회 서지학연구 제93집 2023.03 pp.181-203

doi:10.17258/jib.2023..93.181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construction process of Bukhansanseong Fortress Haenggung (Temporary palace) and analyzes the Donnyeongbochop (Genealogical Documents of the King and Queen’s Relatives) that was enshrined in Bukhansanseong Haenggung. Since its construction, Donnyeongbochop has been enshrined and managed at the Bukhansanseong Haenggung, and in 1909, all the materials kept by the Haenggung were compiled as Bukhan Chaek Mokrok (a Bukhansanseong hanggung’s Book List). In the Bukhan Chaek Mokrok, various data such as Donnyeongbochop, Seals, Deungrok, Uigwe, and Yuneum (A Type of Official Documents Including King’s Instructions). This paper analyzed the construction process of Bukhansanseong Fortress Haenggung, the enshrinement process of Donnyeongbochop, since when Donnyeongbochop was enshrined in Bukhansanseong Haenggung, the current status of Donnyeongbochop in the Bukhan Chaek Mokrok, and the actual data.

한국어

본 논문은 북한산성 행궁의 건립 과정을 살펴보고, 북한산성 행궁에 봉안해 두었던 「돈녕보첩」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북한산성 행궁에는 건립 이후부터 「돈녕보첩」 등을 봉안해두고 관리하였는데, 1909년에 행궁에서 소장하고 있던 모든 자료를 정리하여 「북한책목록」으로 작성하였다. 「북한책목록」에는 「돈녕보첩」을 비롯하여 인신, 등록, 의궤, 윤음 등 다양한 자료가 기록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 중 「돈녕보첩」에 주목하여 북한산성 행궁의 건립 과정과 「돈녕보첩」의 봉안 과정, 언제부터 북한산성 행궁에 「돈녕보첩」을 봉안하고 있었는지, 「북한책목록」에 수록된 「돈녕보첩」의 수록 현황과 실제 현존 자료의 상황 등을 분석하였다.

목차

<초록>

1. 서론
2. 북한산성 행궁의 건립과 관리
3. 돈녕부의 譜冊 간행과 관리
3.1 『돈녕보첩』의 간행과 체제
3.2 『돈녕보첩』의 관리
4. 『북한책목록』과 『돈녕보첩』의 현황
4.1 『북한책목록』의 체제
4.2 『북한책목록』에 보이는『돈녕보첩』의 수록 현황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혜정 Lee, Hyejung.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이용 방식은 연계기관의 정책을 따르고 있습니다.

      • 원문보기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