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코로나19 발생 상황에서 중소병원 간호사의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 감염예방환경 및 사회심리적 건강이 코로나 관련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 of medium sized hospital nurses' nursing intention, infection prevention environment, and social psychological well-being on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COVID-19 outbreak

김양신, 오재우, 김선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medium sized hospital nurses’ nursing intention, infection prevention environment, and social psychological well-being on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COVID-19 outbreak.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y 2 to May 31, 2022, and the questionnaires of 161 nurses who were working at I and B medium sized hospital in incheon and agree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Win 25.0,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infection prevention environment(ß=.225, p<.001) an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new infectious disease education(ß=.208, p=.008) had a significant effect and these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10.9% explanatory power for COVID-19 related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Therefore, in the context of the outbreak of COVID-19, it is important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infection prevention and to provide continuous and diverse education related to infectius diseases.

한국어

본 연구는 코로나19 발생 상황에서 중소병원 간호사의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 감염예방환경 및 사회심리적 건강이 코로나 관련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5월 2일 부터 5월 31일까지이며, 인천광역시 소재 중소병원인 I와 B병원에서 근무 중이며 본 연구 참여에 동의한 간호사 161 명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IBM SPSS/Win 25.0을 이용하였으며,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관련 감염관리 수행도에 감염예방환경(β=.225, p<.001)과 신종감염병 교육 참여 경험(β=.208, p=.008)이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이들 변수는 코로나 관련 감염관 리 수행도에 대해 10.9%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코로나19의 감염병 발생 상황에서 감염예방을 위 한 환경 조성과 지속적이고 다양한 감염병 관련 교육 제공이 중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5.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 감염예방환경, 사회심리적 건강 및 코로나 관련 감염관리 수행도의 정도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코로나 관련 감염관리 수행도
4. 대상자의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 감염예방환경과사회심리적 건강 및 코로나 관련 감염관리 수행도와의관계
5. 대상자의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 감염예방환경 및사회심리적 건강이 코로나 관련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Ⅳ. 논의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양신 Yang Sin Kim. 정회원,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 오재우 Jae Woo Oh. 정회원,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 김선옥 Seon Ok Kim. 정회원, 안성성모병원 간호이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