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에듀테크 기반 초등수업에 대한 예비교사들 인식 : K교육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Preliminary Teachers' Perception of Elementary Classes Based on Edutech : focusing on K Teachers’ College

윤택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apid development and progres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 bringing about chang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innovative methods in teaching-learning have been introduced and applied a lot in the actual field starting with the pandemic. Reflecting this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use of edutech, which is widely used in the educational field after COVID-19. To this end, I analyzed the results of 7 major ideas selected at the Edutech Utilization Competition held by K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focus group interview conducted with 2 pre-service teach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value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edutech-based classes. In addition, they were positively aware of the educational effect of edutech-based classes. To sum up, it could be predicted that edutech classes are also linked to the policies and plan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effectively guiding future learners while achieving the goals set by the curriculum.

한국어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진보는 교육 분야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교 수-학습에 있어 혁신적인 방법들이 소개되고 실제로 현장에서 많이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교육현장에서 널리 활용되는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예비초등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그 목 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K교육대학교에서 실시한 에듀테크 활용 경진대회에서 선정된 주요 아이디어 7편과 2인의 예 비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포커스그룹 인터뷰의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예비초등교사들은 에듀테크 기반 수 업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하여 공감하며, 아울러 에듀테크 기반 수업에 대한 교육적 효과에 대해서도 긍정적으 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에듀테크 활용 수업은 교육부의 정책 및 계획과도 연계성 을 갖추며 있으며 교육과정이 정한 목표를 달성함과 동시에 미래 학습자들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Edu-Start Up 대회
2. 아이디어 공모전 결과
3. 자료수집
4. 자료분석
Ⅲ. 결과
1. 에듀테크 수업 활용의 필요성
2. 에듀테크 수업 활용의 중요성
3. 에듀테크 수업 활용의 기대효과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윤택남 Tecnam Yoon. 정회원, 춘천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