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포스트코로나 시대 전문대학생의 취업불안에 관한 주관성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College Students' Job-Seeking Anxiety in the Post COVID-19 Era

김민정, 차희정, 안윤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job seeking anxiety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in the post COVID-19 era through Q methodology an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For this purpose, a subjectivity study on job-seeking anxiet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0 students of K junior college located in Gyeonggi-do. Types of job seeking anxiety were Type 1 lack of employment qualification, Type 2 lack of job-related competencies, Type 3 lack of interpersonal competencies, and Type 4 job market insecurity in COVID-19 era. Anxious type 1(the lack of employment qualification) was found to be experiencing job seeking anxiety due to lack of individual qualification or job-related abilities. Anxious type 2(the lack of job-related competencies) was found to have a characteristic of having difficulty in getting a job or having difficulty in adapting to a job due to lack of practical work and job-related experience required for employment. Anxious type 3(lack of interpersonal competency) was found to be experiencing job seeking anxiety due to the lack of experience in mak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ue to COVID-19 due to non-face-to-face classes and lack of opportunities for field practice. Anxious type 4(the job market anxiety in the COVID-19 era) was characterized by a high level of anxiety felt by the negative impact of COVID-19 on employment, not by job seeking anxiety caused by a lack of personal specifications, practical work, and job-related exper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of each type of job seeking anxiety and the role of support and vocational counseling in schools to reduce job seeking anxiety were suggested.

한국어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통해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전문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취업불안 유형을 확인하 고 각 유형별 특성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K전문대학 재학생, 졸업예정자, 졸업생 총 30명을 대상으로 취업불안에 대한 주관성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포스트코로나 시대 전문대학생이 경험하는 취업불안이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취업불안 유형은 유형 1 취업스펙 부족 불안형, 유형 2 직무관련역량 부족 불안형, 유형 3 대인관계역량 부족 불안형, 유형 4 코로나시대 취업시장 불안형으로 나타났다. 유형 1 취업스펙 부족 불안형은 개인의 스펙이나 입사 관련 능력에 대 한 부족에서 오는 취업불안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 2 직무관련역량 부족 불안형은 취업에 필요한 실무와 직무관련 경험 부족으로 취업에 어려움을 겪거나 직장 적응에 어려움이 생길까 불안해 하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 3 대인관계역량 부족 불안형은 코로나로 인해 비대면 수업, 현장실습 기회 부족 등으로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경험이 적은 것에 대한 취업불안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유형 4 코로나시대 취업시장 불안형은 개인의 스펙이나 실무 및 직무관련 경 험에 대한 부족에서 오는 취업불안이 아닌 코로나가 취업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으로 느끼는 불안이 큰 것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취업불안 유형별 함의와 취업불안을 낮추기 위한 학교 에서의 지원과 직업상담의 역할 등을 제언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2.1 취업불안과 코로나19
2.2 대학생과 취업불안의 관계
Ⅲ. 연구방법
3.1 연구방법과 절차
3.2 Q모집단과 Q표본 선정
3.3 P표본 선정
3.4 Q분류
3.5 Q소팅 분석과 해석
Ⅳ. 연구결과
4.1 유형의 형성
4.2 유형별 특성
4.3 일치항목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민정 Min-Jeong Kim. 경기대학교 직업학과 박사수료
  • 차희정 Hee-Jung Cha. 경기대학교 직업학과 박사수료
  • 안윤정 Yoon-Jung An.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직업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