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채용 장면에서의 직업기초능력평가 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Content Validity for Foundational Core Competency Evaluation Items in the Recruitment Scene

김진실, 김순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t a time when the discussion of job based HR system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accordance with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the use of objective evaluation tools based job competency is spreading in “recruitment announcement-document screening-written screening-interview screening”. Although it is an important procedure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recruitment system in that the recruitment system is operated by introducing a measurement and evaluation methodology for applicants, the validation of the Foundational Core Competency evaluation is very insufficient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the validity analysis of the NCS Foundational Core Competency assessment was recognized and the validity of the NCS Foundational Core Competency was analyzed though content validity analysis methodology. The subject of analysis of this study was 850 written questions on basic job skills of the 2022 competency-based recruitment model. For the content validity analysis, measurement and evaluation methodology experts and content experts by job group reviewed individual questions to quantitatively evaluate whether the question was related to the content to be measured. The rating scale consisted of a 4-point scale, and the questions rated at 3 or 4 were judged to have content relevance. The evaluation results were used as basic data for calculating CVI, and the level of content validity was indexed by calculating CVI for each area and job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evance of the contents of each sub-domain in the basic vocational ability evaluation,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of the basic vocational ability evaluation was confirmed to be at a good level, and the measurement items stably included the contents to be measured. The content validity analysis used in this study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tuitively verify content relevance in that experts directly review the content of individual items to check the relevance with measurement factors, but the level of content validity is determined by the subjectivity of experts. Even though, there is also a disadvantage that objective verification is limited in that it is. unlike construct validity and criterion validity analysis that rely on statistical methodology, validity analysis by actual content experts is very meaningful.

한국어

미래 환경변화에 따른 직무중심의 인사관리체계의 논의가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채용공고-서 류전형-필기전형-면접전형”에 직무능력 중심의 객관적인 평가도구 활용이 확산되고 있다. 채용제도가 지원자에 대한 측정 및 평가 방법론을 도입하여 운영된다는 점에서 채용제도에 대한 타당도를 분석하 는 것은 중요한 절차임에도 불구, 직업기초능력평가에 대한 타당도 검증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 서 이 연구를 통해 NCS 직업기초능력평가의 타당도 분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내용타당도 분석 방법 론을 통해 NCS 직업기초능력평가의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은 2022년 능력중심채용모델의 직업기초능력 필기문항 850문항이다. 내용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측정 및 평가 방법론 전문가와 직군별 내용전문가가 개별 문항을 검토하여 해당 문항이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과 관련되어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평정하도록 하였다. 평정 척도는 4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3점 또는 4점으로 평정된 문항에 대하여 내용 관련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평정 결과는 CVI를 산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었고, 영역 및 직군별 CVI를 산출하여 내용타당도 수준을 지표 화하였다. 직업기초능력평가는 10개 영역에 대한 하위 영역별 내용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직업기초능 력평가 내용타당도가 양호한 수준으로 확인되어 측정 문항이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안정적으로 포함 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 활용된 내용타당도 분석은 전문가가 개별 문항의 내용을 직접 검토하여 전문가의 주관 성에 의해 내용타당도 수준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객관적 검증이 제한적이라는 단점 또한 존재한다. 그 러나 통계적 방법론에 의존하는 측면이 큰 구인 타당도, 준거 타당도 관점의 타당도 분석과 달리 실제 내용전문가에 의해서 전문가적 관점의 문항 검토 결과를 제시하고 이와 같은 검토 결과를 정량적인 타 당도 지수로 산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2.1. 국가직무능력표준과 NCS 직업기초능력평가
2.2. NCS 직업기초능력평가 타당도 분석
Ⅲ. 연구의 방법
3.1. 측정 도구의 타당도 분석 방법론
3.2. 분석 대상
3.3. 자료 수집 및 자료 분석
Ⅳ. 연구의 결과
4.1. 직업기초능력평가 문항 구성
4.2. 내용타당도 분석 결과
4.3. 분석 결과 종합
V. 결론 및 시사점
5.1. 결론
5.2. 시사점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진실 Jin-Sil Kim.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직무능력표준원 원장
  • 김순호 Soonho Kim. (주)스펙터로스 컨설팅 대표이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