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실업자 직업훈련의 노동시장 성과 효과크기 비교 : 신기술, 기간·전략, 일반직종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Comparison of Effect Sizes of Labor Market Performance for Vocational Training for the Unemployed: Focusing on New Technology, Key Strategic, and General Occupation

정선정, 이문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of traditional training for the unemployed(Key Strategic, General Occupations) befor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ecame an issue and New Technology training, which has continuously expanded training occupations suitable for new industries. Representative unemployed training was selected as New Technology, Key Strategic, and General Occupation, and labor market performance was set as employment rate, employment retention rate, and wage, and labor market performance was compared by calculating the current status and effect size of each project. In conclusion, first, the employment rate of unemployed training was in the order of New Technology(67.7%), Key Strategic(65.6%), and General Occupation(51.8%). The employment effect size was 2.3% higher for New Technology than Key Strategic(RR=1.023), 13.6% higher than for General Occupations(RR=1.136), and 12.3% higher for Key Strategic than for General Occupations(RR=1.123). Second, the employment retention rate of unemployed training was in the order of New Technology(70.9%), Key Strategic(62.8%), and General Occupations(61.2%). The effect size of job loss was 25.9% lower for New Technology than Key Strategic(RR=0.741), 30.3% lower than for General Occupation(RR=0.697), and 0.6% lower for Key Strategic than for General Occupation(RR=0.994). Third, monthly basic salary for unemployed training were in the order of New Technology(2.357 million won), Key Strategic(2.033 million won), and General Occupations(1.759 million won). The effect size is higher for New Technology with a small effect size compared to Key Strategic(SMD=0.29), and higher than for General Occupations with a larger effect size(SMD=0.62), and with a smaller effect size for Key Strategic than for General Occupations(SMD=0.25).

한국어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이 이슈화 되기 이전 전통적인 실업자훈련(기간·전략, 일반직종)과 신산업 분 야에 맞는 훈련직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온 신기술 훈련의 노동시장 성과를 비교하는데 있다. 대표적 인 실업자훈련을 신기술, 기간·전략, 일반직종으로 선정하고, 노동시장 성과를 취업률, 고용유지율, 임 금으로 설정하여, 각 사업별 성과 현황과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노동시장 성과를 비교하였다. 주요결과는 첫째, 실업자훈련의 취업률 현황은 신기술(67.7%), 기간·전략(65.6%), 일반직종(51.8%) 순이며, 취업 효과크기는 신기술이 기간·전략에 비해 취업할 확률이 2.3% 더 높고(RR=1.023), 일반직 종에 비해 13.6% 더 높으며(RR=1.136), 기간·전략은 일반직종에 비해 12.3% 더 높았다(RR=1.123). 둘 째, 실업자훈련의 고용유지율 현황은 신기술(70.9%), 기간·전략(62.8%), 일반직종(61.2%) 순이며, 고용 상실 효과크기는 신기술이 기간·전략에 비해 고용을 상실할 확률이 25.9% 더 낮고(RR=0.741), 일반직 종에 비해 30.3% 더 낮으며(RR=0.697), 기간·전략은 일반직종에 비해 0.6% 더 낮았다(RR=0.994). 즉, 신기술은 기간·전략과 일반직종에 비해 취업자가 고용을 상실할 확률이 25~30% 더 낮아 고용을 유지 할 확률이 더 높고, 기간·전략과 일반직종은 미세한 차이는 있지만 고용상실 확률이 거의 1에 가까워, 고용을 유지할 확률은 유사하게 더 낮았다. 셋째, 실업자훈련의 임금 현황(월 기본급)은 신기술(235.7만 원), 기간·전략(203.3만원), 일반직종(175.9만원) 순이며, 임금 효과크기는 신기술이 기간·전략에 비해 작은 효과크기로 더 높고(SMD=0.29), 일반직종에 비해 큰 효과크기로 더 높으며(SMD=0.62), 기간·전 략이 일반직종에 비해 작은 효과크기로 더 높았다(SMD=0.25).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실업자 직업훈련
2.2 실업자 직업훈련 노동시장 성과에 관한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3.1 연구설계
3.2 분석대상 및 자료수집
3.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4.1 실업자 직업훈련 취업률 현황 및 효과크기
4.2 실업자 직업훈련 고용유지율 현황 및 효과크기
4.3 실업자 직업훈련 임금 현황 및 효과크기
Ⅴ. 결론 및 시사점, 제언
참고문헌(References)고용노동부(
Abstract

저자정보

  • 정선정 Sun-Jeong Jeong.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직업능력심사평가원 센터장
  • 이문수 Moon-Su L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