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Long-run and Short-run Impacts among New Renewable Energy Generation, Carbon Dioxide Emissions, International Trade, Real GDP and Non New Renewable Energy Generation in Korea

원문정보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국제무역, 실질GDP, 비신재생에너지 발전량 간의 장·단기 영향

Changbeom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 new renewable energy generation (NRE), carbon dioxide emissions (CDE), real GDP (RGDP), International Trade (INTRAD), nuclear power generation (NUC) and thermal power generation (HEAT) in Korea.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study estimated the short-run and long-run effects among PNRE, PCDE, PRGDP, INTRAD, PNUC and PHEAT converted to per capita variables annual data from 1981 to 2020 using the ARDL model and a variety cointegration equation. Results : The PNRE, PNUC and PHEAT have a two-way and positive effect on INTRAD and PRGDP while changes in PNRE and PNUC have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with change in PRGDP and change in INTRAD has a unidirectional relationship with change in PNRE. Conclusions : The linkage strategy between the NRE and nuclear power generation should be established along with energy efficiency policies to expand the RGDP and INTRAD.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을 대상으로 1981년부터 2020년까지 ARDL모형과 공적분관계 추정식(DOLS, FMOLS, CCR)을 적용하여 1인당 신재생에너지 발전량(PNRE),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 (PCDE), 1인당 실질GDP(PRGDP), 국제무역(INTRAD), 1인당 비신재생에너지 발전량(PNUC와 PHEAT) 간의 장·단기적 영향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ARDL모형, DOLS, FMOLS, CCR에서 도출된 장기균형관계 추정 결과에서 PNRE, PNUC, PHEAT은 모두 INTRAD 과 PRGDP의 관계에서 쌍방향적이면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세 변수 중에서 PNRE가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작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PNUC와 PHEAT가 PNRE에 미치는 영향과 PHEAT가 PNUC에 미치는 영향이 그 반대의 경우보다 큰 것으로 나타 났다. 한편, ARDL모형에서 도출된 단기 계수값을 추정한 결과는 PNRE와 PNUC의 변화는 PRGDP 변화와 쌍방향적 관계를 갖으며 PHEAT의 변화는 PCDE 변화, INTRAD 변화와 쌍방적 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INTRAD 변화는 PNRE 변화에 단방향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정부정책적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실질소득 증가와 국제무역 확대를 위한 에너 지 효율화 정책이 필요하며 국제무역과 친환경에너지의 교호 작용을 위해 핵심 제조업과 정보 통신기술 분야와의 융합·연계를 위한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게다가, 경직성 전원인 원자력 발전과 변동성 전원인 재생에너지의 중·장기적 연계 전략이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odel and Methodology
Ⅳ. Empirical Results
Ⅴ. Summary and Policy Implications
References

저자정보

  • Changbeom Kim 김창범. Research Professor, The Institute of Knowledge Management, Chosun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