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가족 상실을 겪은 성인 남성의 미술치료에서 나타난 삶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원문정보

A Narrative Study of the Life of an Adult Man who Have Experienced Family Loss in Art Therapy

박성은, 임나영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trinsic meaning of life in the personal context of an adult man who experienced family loss and, in the process, to explore in depth the meaning of the art therapy experience. Considering the temporal context of the experience and the meaning attributed to it by the research participant, the data collected through narrative inquiry revealed four areas of change: 'Changes in Family Behavior' at home, 'Changes in Perspective' through the adoption of other perspectives, 'Changes in Mind and Thought' due to distorted perception, and 'Changes in Relationships.' In-depth interviews using art therapy were conducted to uncover the stories that were obscured by the wounds of loss.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art therapy intervention was analyz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researcher's interpretation to examine its significance. As a result, the experience of family loss was understood as 'facing oneself through acceptance and integration.' This study not only demonstrated that art therapy helped individuals who experienced family loss to recognize and reframe negative memories and emotions, but also demonstrated a process of transformation that ultimately led to healing by exploring the meaning of an adult male's childhood family loss experience.

한국어

본 연구는 가족 상실을 경험한 성인 남성의 삶이라는 개인적 맥락 속에서 삶의 본질적 의미를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경험의 시간적 맥락과 경험자가 부여하는 의미를 고려하여 살펴보았고, 상실 경험과 삶의 이야기는 4가지 주제로 나타났 다. 가정에서의 ‘가족 행동의 변화’, 외부에서 가족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 ‘불행으로 인한 마음과 생각의 변화’, 그리고 ‘관계의 변화’다. 심층 면담에서 상실의 상처로 묻혀있던 이야기를 심도 있게 다루고자 미술치료를 활용하였고, 미술치료적 개입과 함께 정리한 자료는 연구자의 해석 틀 속에서 변화된 의미를 재해석하여 살펴보았 다. 이를 통해 가족 상실 경험은 ‘수용과 통합을 통한 나를 만나다’로 의미화했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적 개입을 통해 가족 상실 경험자 스스로 부정적 기억과 감정을 인식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을 도출하고 경험한 것도 중요하지 만, 성인 남성이 경험한 유년기 상실의 의미를 탐색하며 치유로 이어지는 변화과정이 내러티브에 나타났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목차

국문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문제
II. 연구방법
1. 내러티브 탐구
2. 자료수집과 분석
3. 윤리적 고려 및 연구 타당성
III. 가족 상실을 겪은 성인 남성의경험 이야기
1. 가정 내 변화: 소리 없는 슬픔
2. 외부의 변화: 타인의 시선
3. 마음과 생각의 변화: 왜곡
4. 관계의 변화: 단절
IV. 미술치료를 통해 가족 상실 경험을다시 이야기하기
1. 암울한 과거도 나의 삶의 일부
2. 부모님을 향한 연민의 싹
3. 의식의 변화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성은 Park, Sung-Eun. 성남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미술치료사
  • 임나영 Lim, Na-Young.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특수상담치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김균진 (2002). 현대사회와 “죽음의 배제”(2). 신학논단, 30, 113-139.
  • 2김민정, 임나영 (2022). 가족 사별자의 애도를 위한 만다라 미술치료의 내담자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예술치료학회지, 22(1), 1-20.
  • 3김소희, 곽진영 (2022). 배우자 사별을 경험한 남성 독거노인의 우울감 감소를 위한 애도과정 중심의 미술치료사례연구. 미술심리치료연구, 1(2), 63-86.
  • 4김영천 (2017). 질적연구방법론 I.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 5김현진, 장연집 (2013). 성인기에 아버지와 사별한 미혼 딸의 이미지 작업체험연구. 한국심리치료학회지, 5(2), 69-90.
  • 6민주홍 (2020). 부와 사별한 아동의 애도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차의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7박민정 (2006). 내러티브란 무엇인가?. 아시아교육연구, 7(4), 27-47.
  • 8박서정 (2018). 가족세우기 애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선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9박선우 (2021). 배우자 사별 독거노인의 애도 집단상담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10박선우, 김미옥 (2019). 애도를 위한 집단미술치료가 배우자 사별노인의 애도, 우울 및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26(4), 729-749.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