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고대의 전통혼례 풍습과 문화에 따른 신부스타일의 디자인적 특징

원문정보

Design Characteristics of Bridal Style according to Traditional Wedding Customs and Culture in Ancient China

서효명, 김혜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dramas based on history have become popular, and interest in historical drama styles such as hairstyles, costumes, and makeup by ancient times is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know ancient Chinese costumes, makeup styles, and traditional cos tumes by referring to historical dramas and movies, and to serve as basic data for traditional Chinese weddings.Through literature, paintings, and historical dramas in China, the differences in bride costumes and makeup were understood and creatively expressed in eight traditional Chinese weddings, including the dark period, the Wei Jinnam Bokjo period, the Tang, Song, Yuan, Ming, Qing, and Ming periods.The Han Dynasty wears black, the Tang Dynasty prefers white skin and thick eyebrows to match chubby faces, the Song Dynasty is pure and simple, the Yuan Dynasty wears a long coat and wears a lot of red, and the Ming Dynasty likes to come out naturally like a modern person, and the Qing Dynasty is a long coat with narrow sleeves. The Republic of Korea period is an era of great convergence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an d various wedding dress styles and gold color decoration s are colorful.Through the research and creation of this paper, it is intended to be a reference material for the basic materials of historical dramas and movies, the recognit ion of ancient Chinese costumes and makeup, and for the bride who chose traditional costumes in modern times.

한국어

대중매체의 발달로 역사를 소재로 한 드라마가 인기를 끌 면서 중국 고대 시대별 헤어스타일, 의상, 메이크업 등 사극 스타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역사 드라마나 영화 등을 참고하여 중국 고대 복식과 메이크업 스 타일, 전통 복식을 알고 창작을 통하여 현대에 전통 복식을 선택하는 신부에게 참고 자료가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문헌과 회화작품 그리고 중국의 역사 드라마 조사를 통하여 진한 시기, 위 진 남북조시기, 당나라, 송나라,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 그리고 민국 시기 등 총 8개 시기의 중국전통혼례를 대상으로 신부 의상과 메이크업에 대한 차이를 이해하고 창 조적으로 표현하였다. 연구결과 한나라부터 민국시대까지 총 8가지 신부스타일을 작품으로 구현하였다. 한나라 사람들은 검정색 옷을 좋아해서혼례 때도 검정색 복장을 입고 상투 머 리를 늘어뜨리는 헤어스타일을 선호하고 다른 장식품은 거의 없다. 위진 남북조 시기는 립 메이크업에 대한 차이점이 많고 머리를 늘어뜨린 헤어스타일과 머리위에 상투를 많이 한다. 당나라 사람들은 하얀 피부를 선호하고 통통한 얼굴과 잘 어 울리게 눈썹을 진하고 굵게 한다. 송나라의 메이크업은 상대 적으로 조금 청순하고 당나라보다 더 간단하다. 원나라는 주 로 소매가 좁은 긴 코트를 입고 빨간색을 많이 쓰며 장식품을 늘어뜨린다. 명나라는 현대인처럼 자연스럽게 연출되는 것을 좋아한다. 청나라는 머리를 들어 올리고 화려한 장식품을 선 호하며 혼례 복장은 좁은 소매를 가지고 있는 긴 코트이다. 민국 시기는 동서양 문화의 대융합 시대로 여러 혼례복 스타 일과 골드 색상 장식이 화려하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중국전통혼례
2.1 혼례의 유래
2.2 고대혼례의 풍습
2.3 신부스타일
3. 고대혼례의 유형 및 특징
3.1 진한시기
3.2 위진 남북조 시기
3.3 당나라
3.4 송나라
3.5 원나라
3.6 명나라
3.7 청나라
3.8 민국시기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서효명 XU XIAOMING. 우송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경영학전공 (뷰티경영학코스)
  • 김혜균 Kim Hye Kyun. 우송대학교, 뷰티디자인경영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