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초ㆍ중등 교사소진 연구동향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Burnout Research Trend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using Topic Modeling

윤지영, 허은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rend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 burnout researches through topic modeling analysis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research data is a total of 186 papers related to teacher burnout published in the journals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for the last 20 years (2002-2022).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hare of research topics on teacher burnout is job stress and burnout (27.42%), factors influencing burnout (16.13%), burnout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environment surrounding teachers (11.29%), burnout of teachers in charge of specific duties, such a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rofessional counselors (26.34%) and the burnout of teachers who were victims of violence (18.82%). Among them, studies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teacher burnout showed have increas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implic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ob stress and burnout account for the highest rate as they are very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since the design pattern is somewhat repetitive, it is necessary to try to expand the subject. Second, the emphasis on the protective factor of burnout was prominent, and the importance of the ambivalent emotional labor variable, which was not biased towards either positive or negative, also came to the fore. Third, practical prescriptions that can be mutually understood about the special and specific burnout experiences of school members should be provided. Fourth, the causes of teacher burnout should not be limited to individuals or jobs, but the dynamics that cause burnout should be identified through a broad understanding considering the contex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above results are not limited to being dealt with as a segmented topic, but research needs to be developed in various combinations of each element.

한국어

이 논문은 토픽모델링을 활용해 초ㆍ중등 교사소진 연구 동향을 탐색하고 향후 연구 방향 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자료는 최근 20년 간(2002년~2022년) 한국연구재단(KCI) 등재지에 수록된 교사소진 관련 논문 총 186편이다. 분석 결과, 교사소진 연구 토픽의 점유율 은 직무스트레스와 소진(27.42%), 소진의 영향요인(16.13%), 교사를 둘러싼 조직ㆍ환경에 따른 소진(11.29%), 특수교사, 전문상담교사 등 특정 직무담당 교사의 소진(26.34%), 폭력 피해 교사 의 소진(18.82%)으로 나타났다. 이 중 소진 영향요인 연구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은 현상적 으로 매우 밀접한 만큼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데 설계 패턴이 다소 반복되는 바, 주제 확장이 시도될 필요가 있다. 둘째, 소진의 보호요인에 대한 강조가 두드러지며, 긍정과 부정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은 양가적 성격의 감정노동 변인의 중요성 또한 대두되면서 교사 스 스로 조절할 수 있는 영향요인에 대한 시사를 얻을 수 있다. 셋째, 교사소진에 대한 보편적 이해 뿐 아니라 학교 구성원의 특수하고 구체적인 경험에 대해 상호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실질적 처방이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교사소진의 원인을 개인이나 직무로 제한하지 말고, 교육환경을 고려한 폭넓은 이해를 통해 소진을 유발하는 역동을 파악해야 한다. 이상의 결과 는 분절된 주제로서 다루어지는 데 그치지 않고 각 요소들의 다양한 조합 속에 연구가 분 화․발전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사소진의 의미
2. 교사소진 연구동향에 관한 선행연구 탐색
3. 토픽모델링 분석의 의의
Ⅲ. 연구 방법
1. 분석절차
2. 분석 대상 자료 선정
3. 분석방법
Ⅳ. 연구 결과
1. TF-IDF 결과
2. LDA 토픽 분석
Ⅴ. 결론
1. 무엇이 소진을 유발하고, 무엇으로 인해 극복되는가?
2. 어떤 교육환경에서, 어떤 교사가 소진을 경험하는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지영 Jiyoung Yoon.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
  • 허은정 Eun Jung Hur. 서원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