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고대 방패의 특징과 의미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oduction Method and Meaning of Shields in Ancient Korea

양성민, 박형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hield is a tool to protect users from enemy attacks. In this study, We will conduct a systematic archaeological study on shields. this study is constructed by the shield manufacturing technique and meaning of shield to ancient people of korea many ancient shields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hese shields differ in shape, handle, metal fitting and other techniques. baseon on these elemnets, ancient korean shield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Archaeological shield data are being excavated from three sites. the downstream area of the Nakdonggang River, the middle area of the Nakdonggang River, and the north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Type I~Ⅲ are rectangular shields and excavated from the downstream area of the Nakdonggang River. Type I,Ⅱ may have been used for burial ritual and Type Ⅲ for practical use. Type Ⅳ and Ⅴtype may have been used for practical use. these two shields are excavated from the midstream area of the Nakdonggang River. These two shields are related to Japanese data based on production techniques. Type Ⅵis confirmed in the northern region, and it is characterized by a hexagonal and oval shape and a reinforcement in the middle of the shields. This type of shield is thought to be related with chinese shields Ancient korean shields have various decorations. these decoration is understood to have various meanings. the meaning of shield is believed to be related to the using techniques of shields and It is presumed that the decorations reinforce to the meaning of the shield. Also, Shield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 depending on using techniques. First shield is that It is a large shield can’t be carried out. it is manufactured and erected during the siege. Second shield is large shield can cover human body, but can be carried out(Type Ⅰ,Ⅱ Ⅳ). Last shield is small size shield that can always carry around(Type Ⅲ, Ⅴ, Ⅵ).

한국어

방패는 적의 공격으로부터 사용자를 지키는 도구다. 방패는 인간 전쟁의 역사와 함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방패와 관련된 고고학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본 글에선 방패 제작기법에 근거, 속성 및 형식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고대 방패의 제작법과 의미, 그리고 사용법을 살펴보았다. 방패는 형태, 방패 외면 처리 방법, 방패 금구, 손잡이, 파형동기 부착 여부 등에서 차이를 보이며, 이를 근거로 Ⅰ형식부터 Ⅵ형식까지 6가지의 형식으로 구분된다. 방패자료는 출토된 지역에 따라 낙동강 하류지역, 낙동강 중류지역, 한반도 북부지역의 세 지역으로 구분된다. Ⅰ~Ⅲ형식은 장방형 방패로 낙동강 하류지역을 중심으로 확인된다. Ⅰ,Ⅱ 형식은 부장용, Ⅲ형식은 실전용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Ⅳ형식과 Ⅴ형식은 장방형 방패로 실전용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낙동강 중류지역에서 확인된다. Ⅵ형식은 한반도 북부지역에서 확인되고 있으며, 육각형 및 타원형의 평면형태와 손잡이, 보강대를 가지고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중국과의 관계를 살필 수 있는 자료라 할 수 있다. 방패 제작방법과 관련된 여러 속성을 살펴봤을 때 방패는 다양한 의미를 가진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해당 속성들은 사용법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방패는 사용자를 보호한다는목적을 가진 도구이기에 방패에 베풀어진 장식, 외면처리 방법 등과 같은 제작속성에 방패의 사용목적과 관련된 의미가 내포되게 된다 . 방패는 이동과 휴대여부, 손잡이여부, 크기 등에 근거 사용방법을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목책과같이 공성전에 세워 고정형으로 거치하여 사용하는 방패, 장소를 변경하면서 방어막을 구축하는대형 이동형 방패(Ⅰ과 Ⅲ형식), 개인 방어 용도로 소형방패를 끈이나 손잡이로 들고 휴대형으로사용하는 방법(Ⅱ, Ⅳ, Ⅴ형식)이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II. 국내 방패 관련 자료 현황
1. 고구려 안악 3호분 고분벽화
2. 실물자료
III. 방패 제작관련 속성과 형식
1. 방패 제작관련 속성
2. 형식설정
3. 시ㆍ공간적 위치 검토
IV. 한국 고대 방패의 형식과 의미, 사용법
1. 한국 고대 방패의 제작법과 그 의미
2. 한국 고대 방패 형식과 사용법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성민 Yang, Seong-min. (재)삼한문화재연구원
  • 박형열 Park, Hyeong-yeol. (재)대한문화재연구원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