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고유산의 효율적 보존 관리를 위한 제언 - ‘고고유산의 보호와 관리 헌장’의 원칙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Suggestions for the efficient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archaeological heritage - Focusing on the principles of the ‘Charter for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he Archaeological Heritage’ -

신희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harter for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he Archaeological Heritage」 is the only international charter for archaeological heritage, and it proclaims important principles related to the protection, investigation and conservation of archaeological heritage. Archaeological heritage is a product left by humans in the past, and should be protected, managed, and passed down so that the present and future generations can study them. The principles proclaimed in this charter contain the value to be applied mutatis mutandis in Korea,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uphold these principles through laws and systems including the 「Act on the Protection and Investigation of Buried Cultural Properties」. Archaeological heritage has a characteristic that once destroyed, it is difficult to restore to its original state. Therefore, excavation is restricted by law, and it is institutionalized so that investigations are conducted to a minimum only in unavoidable cases. In principle, excavated sites should be covered and preserved in situ, but relocation for purposes such as adaptive reuse is permitted. The restoration of archaeological heritage must be carried out carefully based on thorough historical evidence. However, it cannot be said that the principles of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archaeological heritage are properly applied in Korea. In particular, for excavated sites, measures such as in situ preservation, relocation preservation, and record preservation are being taken. Most of the sites are taken as records of investigation, and only a few are preserved locally or moved to another location. However, post-management of the preserved sites is not done properl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value of heritage by preparing measures to maintain the authenticity and integrity of the site and to protect its value as much as possibl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archaeological heritage in Korea will be established through active discussions on conservation principles and application methods suitable for our reality as well as meeting international standards regarding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archaeological heritage.

한국어

「고고유산의 보호와 관리에 관한 헌장」은 고고유산을 대상으로 한 유일한 국제 헌장으로 고고유산의 보호 및 조사, 보존과 관련된 중요한 원칙을 천명하고 있다. 고고유산은 과거 인간이 남긴 산물로 당대는 물론 미래 세대들 또한 이들을 연구할 수 있도록 보호 관리하여 물려주어야 한다. 이 헌장에서 천명한 원칙들은 국내에서도 그대로 준용할 가치를 담고 있으며,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을 위시한 법령과 제도를 통해 이러한 원칙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경주하고 있다. 고고유산은 한번 파괴되면 원래의 모습대로 되돌리기 어려운 특성이 있다. 그래서 법으로 발굴을 제한하고 있으며, 부득이한 경우에 한하여 최소한으로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제도화하고 있다. 발굴이 완료된 유적은 원래 위치에 복토하여 보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활용 등의 목적으로 이전보존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고고유산의 복원은 철저한 고증을 바탕으로 신중하게 실시해야 한다. 그러나 고고유산의 보호 및 관리 원칙이 국내에 올바로 적용되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특히발굴이 완료된 유적은 현지보존, 이전보존, 기록보존 등의 조치를 하고 있는데, 대다수 유적은조사 기록을 남기는 것으로 조치하고, 극히 일부만 현지에 또는 다른 자리에 옮겨 보존하고 있다. 그나마도 보존 조치된 유적의 사후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앞으로는 유적의진정성과 완전성을 유지하고 그 가치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서 유산의 가치훼손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향후 고고유산의 보호 및 관리와 관련하여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것은 물론 우리 현실에적합한 보존 원칙과 적용 방안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어져 국내 고고유산의 보호 관리 체제가확립되고, 이를 통해 고고유산이 효율적으로 보존,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II. 고공 산 헌장 체제와 용어 분석
1. 고고유산 헌장 구성 및 내용
2. 용어 정의
III. 고고유산 보호 원칙과 명제
1. 고고유산 보호 원칙
2. 고고유산 조사 원칙
3. 고고유산 보존 원칙
IV. 국내 고고유산 보존 관리 현황과 문제점 및 과제
1. 법률상 고고유산의 보존 관리 원칙
2. 발굴된 유적의 보존 현황
3. 유적 보존 조치 문제점과 과제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희권 Shin, Hee-kweon. 서울시립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