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COVID-19 Pandemic and Supply Chain Resilience in Small-Medium Enterprises(SMEs) : Focusing on Global Supply Chain Management of SMEs
초록
영어
This study conducte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supply chain resilience in SMEs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and provide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nsight gained, knowledge gap identified, and suggested potential areas of furture research. Based on this purpose, using a systematic research strategy, 68 articles were seleceted for this study. Each of these articles was reviewed, classified and analysed to focus on the development of literature in supply chain resilience fied and figure out the significant focal research area in this domai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 the classification of articles indicated a rapidly growing number of studies in the last three years with significant focus on general industries and survey-based empirical research design. (2)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literature on supply chain resilience in SMEs was categorized into 4 dimensions: 1) supply chain resilience principle; 2) impact of COVID-19 pandemic on supply chain in SMEs, 3) supply chain resilience strategies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4) application of Industy 4.0 for resilience. Also, the knowledge gap was identified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to inspire research at the interface of SMEs, supply chain resilience and COVID-19 pandemic. This study offers research questions and directions for further investigation, and the findings will be of great value for SMEs to enhance supply chain resilience during the uncertain business environment.
한국어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과 중소기업의 공급망 회복탄력성에 관해 2012년 1월~2022년 12월까지 게재된 중소기업 중심의 공급망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기존연구의 한계점을 파악하여 연구범위를 설정하고 새로운 연구영역을 확장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체계적인 자료선정 절차를 거쳐 최종 선택된 68편의 국내외 논문을 바탕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중소기업의 공 급망 회복탄력성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4개의 주요 연구영역인 (1) 공급망 회복탄력성의 원칙; (2) 코로나19 팬데믹이 공급망 회복탄 력성에 미친 영향; (3) 코로나19 팬데믹을 통해 본 공급망 회복탄력성 구축 방법; (4) 공급망 회복탄력성과 4차 산업혁명 기술로 구분하 여 정리하였다. 그 결과 현재까지 진행된 코로나19 팬데믹과 중소기업이 공급망 회복탄력성 관련 이론 연구 및 실증 연구 모두 2019년 12월 코로나 발병 이후 빠르게 진척되었고 특정 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일부 연구도 있지만, 대부분은 전체 산업에 적용 가능한 일반 적인 시사점을 도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이 중소기업 공급망에 미친 악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국가별 중소기업의 코로나19 영향과 그 결과를 정리한 결과, 폐업, 대규모 해고와 원자재 부족 등 연쇄적이고 다발적인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대응하 기 위해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하거나 공급망 회복탄력성을 위한 유연성과 완충 재고 보유, 디지털 전환 추진 등 공급망 복원 을 위한 전략 개발연구가 주로 진행되었음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은 제한된 자원과 제약으로 급변하는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워 코로나19 악영향에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크지만 이를 중심으로 한 회복탄력성 전략 개발연구는 초기 단계에 불과 하고 국내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후속 연구를 통해 연구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토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중소기업의 공급망 회복탄력성(SME’s Supply Chain Resilience)
2. 코로나19 팬데믹과 글로벌 공급망 회복탄력성체계적 문헌 고찰(SLRs)
III. 연구 방법
1. 연구 확인 및 선별과정
2. 연구 분류 및 평가자 간 신뢰성(Inter-rate Reliability)
Ⅳ. 기술통계 분석(Descriptive Analysis)
1. 출판연도별 분류
2. 연구 설계방식(Research Design)별 분류
3. 국가 및 적용영역(Application Area)별 분류
4. 저널별 분류
5. 인용 횟수 기준 주요 연구결과
V. 연구 결과
1.공급망회복탄력성원칙(Supply Chain Resilience Principle)
2. 코로나19 팬데믹이 전 세계 중소기업 글로벌 공급망에 미친 영향
3. 코로나19 팬데믹을 통해 본 중소기업의 글로벌공급망 회복탄력성 전략
4. 공급망 회복탄력성과 4차 산업혁명 기술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