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웹3.0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전략 연구

원문정보

Research on Basic Policies to Vitalize the Web 3.0 Industry

전웅렬, 임철홍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major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EU are strengthening regulations on antitrust issues and data sovereignty of big tech platform companies. Google, Amazon, Meta, and Apple are representative big tech platform companies. They have grown into giant corporations by driving innovation in many areas such as society, economy, and culture in a short period of time. Accordingly, a demand for a new paradigm to transform the current system dependent on big tech platform companies is constantly being raised,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is Web 3.0. Unlike the intelligent web of the past, Web 3.0 includes various terms and technologies such as blockchain, cryptocurrency, NF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averse. However, as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scope of Web 3.0 are still in the early stage, there is a positive view that it is the beginning of a new future Internet, and a negative view that it is a form of a new monopoly centered on venture capital or a simple marketing term. However, it is true that attempts at a paradigm shift are being actively pursued as a reaction against the side effects of the existing web. In this regard, this paper defines the concept including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Web 3.0, and proposes a strategy for revitalizing the industry in preparation for the Web 3.0 era based on market analysis and development trends of core technologies that realize Web 3.0. .

한국어

최근 미국과 EU 등 주요 선진국은 빅테크 플랫폼 기업의 반독점 이슈와 데이터 주권에 대한 규 제를 강화하고 있다. 구글, 아마존, 메타, 애플 등이 대표적인 빅테크 플랫폼 기업이다. 이들은 단기간 에 사회·경제·문화 등 많은 부분의 혁신을 견인하며 거대 기업으로 성장했으나, 반면 감시 자본주의의 도래, 독과점 이슈,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등 많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빅테크 플랫폼 기업에 의존하는 현재의 체제를 전환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 며, 대표적인 예로 웹3.0을 들 수 있다. 웹3.0은 과거의 지능형 웹과는 달리 블록체인, 가상화폐, NFT, 인공지능, 메타버스 등 다양한 용어와 기술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아직은 웹3.0에 대한 개념적 정의 및 범위가 명확하지 않은 초기 단계로, 새로운 미래 인터넷의 시작이라는 긍정적인 시각과, 벤처 캐피 탈 중심의 새로운 독과점의 형태 또는 단순한 마케팅 용어라는 부정적인 시각이 공존하고 있다. 그러 나 기존 웹의 부작용에 대한 반발로 패러다임의 전환에 대한 시도가 활발하게 전개되는 것은 사실이 며, 이러한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웹3.0의 실체를 파악하고, 웹3.0의 시대에 대비하는 노력은 필요하 다. 이에 본 논문은 웹3.0의 등장배경과 의미를 포함하여 개념을 정의하고, 웹3.0을 실현하는 핵심기 술의 개발동향과 시장분석을 바탕으로, 웹3.0 시대에 대비하여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제안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웹의 등장과 발전
2.1 웹의 등장
2.2 웹1.0
2.3 웹2.0
2.4 웹3.0과 웹3
3. 웹3.0의 기술동향
3.1 블록체인의 핵심기술
3.2 2세대 블록체인: 이더리움
3.3 차세대 블록체인
3.4 블록체인 기술동향에 대한 시사점
4. 웹3.0의 시장동향
4.1 DeFi(Decentralized Finance)
4.2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4.3 메타버스
4.4 P2E(Play to Earn)
4.5 스팀잇에서 살펴보는 웹3의 사례
5. 웹3.0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전략 제안
5.1 시사점
5.2 웹3.0 산업 활성화를 위한 추진전략
5.3 공공부문의 선행과제
5.4 민간부문의 선행과제
6.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전웅렬 Woong-ryul Jeon. 광주대학교 사이버보안경찰학과
  • 임철홍 Chol-Hong Im. 광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