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분노 억압이 사이버 폭력에 미치는 영향 : 도덕적 이탈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Anger Suppression on Cyber Aggression : The Mediation Effect of Moral Disengagement

이란, 이영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among anger suppression, moral disengagement, and cyber aggression, and to test whether moral disengage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suppression and cyber aggression. To examine this, total number of 391 adults were collected via online and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STAXI-K, The Civic Moral Disengagement Scale, and Cyber Aggression scale). The final data was collected from 389 adults with a mean age of 25.92(SD=7.39).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sed to test the model. The finding provides evidence of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nger suppression and moral disengagement, and between moral disengagement and cyber aggression(both anonymous and non-anonymous).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indirect effect of anger suppression on cyber aggression(anonymous) completely mediated by moral disengagement. Further, cyber aggression in both non-anonymous and anonymous context was more prevalent among male adults. Therefore, to help adults’ emotion regulation and build healthy cyber environment, early, gender-specific prevention programs can be applied on personal and societal level.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분노 억압과 도덕적 이탈, 사이버 폭력의 관계를 분석하고, 분노 억압이 익명 과 실명 상황의 사이버 폭력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도덕적 이탈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의 성인남녀 391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상태- 특성 분노표현척도(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 한국판 성인용 도덕적 이탈 척도(Mechanism of Moral Disengagement), 사이버 폭력 척도로 구성된 자기 보고식 설문을 시행 하였다. 이후 최종적으로 평균 25.92세의 389명의 참여자 자료가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고, Stuructural Equation Modeling(SEM)을 사용하여 모형을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분노 억압과 도덕적 이탈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도덕적 이탈과 사이버 폭력 수 준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분노 억압과 사이버 폭력(익명/실명) 간의 관계에서 도덕적 이탈이 완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익명과 실명 상황 모두에서 사이버폭력은 남성에게 더 많이 나타났다. 이는 분노 억압 경향성이 도덕적 이탈이라는 인지 적 기제를 사용하여 사이버 폭력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성인들의 적응적인 분노 조 절과 건강한 인터넷 문화를 위한 조기 인지적 개입, 특히 성차에 관심을 둔 개입이 도움이 될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논의에서는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기술하였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대상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
측정도구
연구 절차 및 자료 분석
결과
주요 변인의 상관과 기술통계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주요 변수와의 관계
측정 모형 검증
구조 모형 검증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란 Lan Lee.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 이영호 Young Ho Lee.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명예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