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Makeup Application Process Using a Mixed Reality (MR) Training System

원문정보

혼합 현실 (MR) 교육 시스템을 활용한 메이크업 응용 과정

Jae-Im Yun, Jin-Sook Hwang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keup application process using a mixed reality (MR) education system for beauty majors and compared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in the makeup education field.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utilization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makeup education using the recently developed AR-based MR technique.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beauty majors. A total of 2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00 effective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using the SPSS 21.0 program. Results: An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s applied to makeup majors found that the expectation of usability in makeup education according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increased equally in the order of VR, AR, and MR. The realistic expectations of the makeup application education from VR to MR increased in three groups, and expectations were particularly high in the case of AR and the utilization of MR in makeup education based on it. We presented a makeup education method from the first-person point of view using the MR device, HoloLens, and we suggested the direction of customized education for auditors based on the popularization of MR devices. Conclusion: Mixed reality-based makeup education presents a new direction in the field of makeup education by providing various types of makeup information consistent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evitalization of alternatives to face-to-face education in the post-COVID-19 era.

한국어

목적: 본 연구는 미용 전공생의 혼합현실 (MR) 교육 시스템을 활용한 메이크업 응용 과정을 조사하고, 메이크업 교육 분야에서 가 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의 메이크업 교육 분야에서 영향을 비교하였다. 또한 최근 개발된 AR 기반의 혼합현실(MR)을 활용한 메이크업 교육의 활용 및 발전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미용전공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총 230부를 배포하여 유효사례 20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메이크업 전공자들의 설문을 통해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순으로 기 술 발전에 따른 메이크업 교육에서의 활용성의 기대치가 동일하게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상현실부터 혼합현실까지 메이 크업 교육에 대한 적용의 현실적인 기대감이 세 그룹에서 기대치가 상승하였으며, 특히 증강현실을 체험하였을 경우 증강현실 및 이를 기반으로 한 혼합현실 메이크업 교육 활용성에 기대치가 높았다. 증강현실 기반의 혼합현실 기기 홀로렌즈는 사용자 혹은 시 연자의 1인칭 시점 메이크업 강의를 듣는 타인들에게 1인칭 시점을 공유한다. 게다가 실시간의 화상통화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현장 메이크업에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해 줌으로써 교육방식의 월등함을 보인다. 또한, 본 연구자는 혼합현실 기기 홀로렌즈를 이용한 1인칭 시점의 메이크업 교육 방법을 제시하여 혼합현실 기기의 대중화에 따른 청강생 맞춤식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 론: 혼합현실 기반의 메이크업 교육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교육 활성화 및 4차 산업 혁명의 흐름에 맞추어 다양한 메이크 업 정보들을 제공함으로써 메이크업 교육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중국어

目的: 本研究使用混合现实 (MR) 教育系统调查美容专业化妆应用过程,并比较虚拟现实(VR)和增强现实 (AR) 在 化妆教育领域的效果。本研究还使用最近开发的基于AR的MR技术调查了化妆教育的利用和发展潜力。方法: 针 对美容专业进行了一项调查。共发放问卷230份,最终回收有效问卷200份用于数据分析。使用SPSS 21.0程序 对收集的数据进行频率分析、因子分析、描述性统计分析和重复测量方差分析。结果: 对适用于化妆专业的问卷 进行分析发现,随着技术的发展,对化妆教育可用性的期望按 VR、AR 和 MR 的顺序增加。从 VR 到 MR 的化妆 应用教育的现实期望在三个群体中增加,并且对 AR和基于它的MR在化妆教育中的利用的期望特别高。我们提 出了一种使用MR设备HoloLens的第一人称视角的化妆教育方法,并提出了基于MR设备普及的审核员定制化教 育方向。结论: 基于混合现实的化妆教育通过提供与第四次工业革命和后 COVID-19 面对面教育替代方案的复兴 相一致的各种类型的化妆信息,在化妆教育领域提出了新的方向时代。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Methods
1. 연구 대상자 및 기간
2. 측정도구
Results and Discussion
1. 뷰티산업에서의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2. 혼합현실 (MR) 기반 홀로렌즈를 활용한 메이크업 교육
3. 타당성 및 요인 분석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中文摘要

저자정보

  • Jae-Im Yun 윤재임. Department of Apparel Design, College of Arts and Design, Konkuk University, Department of Beauty Arts, Jeonghwa Arts College, Department of Beauty Coordination, Baekseok Culture University, Seoul, Korea
  • Jin-Sook Hwang 황진숙. Department of Apparel Design, College of Arts and Design,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