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엘리트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팬데믹 시대, 무용 텍스트 읽기

원문정보

The Study on the Dance Text Reading in the Era of Pendemic

고경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udo-gwang" and "Dance of Macabre" created due to the spreading of the Black Death in the Middle Ages, and new Dance phenomena raised by the collaboration of dance and technology during Covid 19 pandemic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During the outbreak of the Black Death in the Middle Ages, "Mudo-gwang" and "Dance of Macabre" appeared. The expression of the desperate desire to enjoy the joy of life in the face of death became a motif in the art trend of "Dance of Macabre."The dance of the dead was an active symbolic and coded dance movement against a death in reverse through various body movements. Dance at that time was the meaning of ancient Greek Musike, and it was assumed to replace the language as the same meaning of poetry, music, and theatre. The current COVID 19 pandemic has provided a new performance environment in dance. The non-face-to-face social activity caused by the pandemic has led dance performances performed in theaters into the online performance culture using digital technology. The use of Telework in dance creation activities has become the cornerstone of the "Hybrid" system in which the field work environment and the online work environment will be mixed in the future field of danc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a need of establishment of a new philosophy and aesthetic concept of technologies and their collaborations such as the expansion of time and spatial concepts which only dance would provide, and the creative work done with AI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중세시대에 흑사병이 유행하면서 나타난 ‘무도광’, ‘죽음의 춤’과 현대 코로나19에 등장한 무용 과 기술의 협업에 의해 새롭게 등장한 무용 현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세 시대에 흑사병이 창궐 당시에 는 ‘무도광’과 ‘죽음의 춤’이 나타났다. 죽음을 눈앞에 두고 생의 환희를 맛보려는 절실한 욕구의 표현은 ‘죽음의 춤’이라는 예술사조에 모티브가 된다. 죽은 자의 춤은 다양한 신체 움직임을 통해서 죽음을 역으로 활기찬 생기의 춤 동작으로 상징화 하고 코드화한 것이다. 당시의 춤은 고대 그리스의 뮤지케인 시, 음악, 연극과 동일한 의미로서, 춤은 언어를 대신한 것으로 추측한다. 현대의 코로나19는 무용에 새로운 공연 무대를 조성해 주었다. 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의 사회적 환경은 극장 에서 행해지는 무용공연이 디지털을 활용한 온라인 공연문화로 전환케 하였다. 무용창작 활동에 텔레워크의 활용은 앞으 로의 무용계에 현장 작업 환경과 온라인 작업 환경이 뒤섞인 ‘하이브리드’ 체제의 초석이 되었다. 따라서 무용만이 가지는 시간과 공간적 개념의 확장 및 AI의 창작작업 등의 기술 협업에 대한 철학과 미학적 개념이 새롭게 정립될 필요성을 제기하 는 바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중세의 사회적 환경과 무용
1. 중세사회와 문화예술
2. 중세 흑사병과 무도광
Ⅲ. 중세 시대의 ‘죽음의 춤’
Ⅳ. 현대 팬데믹, 무용 텍스트 읽기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고경희 Ko, Kyung-Hee. 한국체육대학교, 시간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