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propensity, athletic passion, training Flow, and performance of middle and high school male basketball players. SPSS Statistics 26.0 program was us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239 male basketball players registered with the Korea Sports Association in 2022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cross-tabulation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For the analysis of relationships and the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ask orientation factor, a sub factor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factors of athletic pass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ask orientation factor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raining Flow. Third, it was found that the task orientation factor of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Fourth,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raining Flow. Fifth, harmonization of passion for exercise showed that pa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thletic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o those involved in the field and help to accumulate data for sports field research.
한국어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남자 농구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 운동열정, 훈련몰입, 경기력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22년 대한체육회 등록한 남자 농구선수들 239부의 설문 자료를 SPSS Statistics 26.0 프로그 램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교차분 석, 변인간의 관련성은 상관관계 분석, 변인간의 관계 분석은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의 결론을 얻었 다. 첫째,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 과제성향 요인은 운동열정의 조화열정과 강박열정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목표성향의 과제성향 요인은 훈련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목표성향 의 과제성향 요인은 경기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은 훈련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운동열정의 조화열정은 경기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현장에 종사하는 관계자들에게 기초자료 제공과 더불어 스포츠 현장 연구의 데이터 축척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2.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3. 자료처리 방법
Ⅲ. 결과
1. 상관관계분석
2. 성취목표성향과 운동열정의 관계
3. 성취목표성향과 훈련몰입의 관계
4. 성취목표성향과 경기력의 관계
5. 운동열정과 훈련몰입의 관계
6. 운동열정과 경기력의 관계
Ⅳ. 논의
1. 성취목표성향과 운동열정의 관계
2. 성취목표성향과 훈련몰입의 관계
3. 성취목표성향과 경기력의 관계
4. 운동열정과 훈련몰입의 관계
5. 운동열정과 경기력의 관계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