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nd difference between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lifestyle of the elderly. The study subjects were sampling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living in Seoul, Gyeonggi-do, and Gangwon-do in October 2022. As for the sample of the stud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among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nd a total of 34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the data processing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Amos 23.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one-way ANOVA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of the elderly. Second,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eating habits of the elderly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except emotional support. Third, emotional support and evaluation support through the correct lifestyle of the elderly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In conclusion, the elderly themselves can recognize a subjective healthy life and expect improvement in social psychological health as well as physical health through physical activities and eating habit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만 65세 이상의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신체활동과 식습관 등 생활습관에 따른 그들의 사회적지 지, 자아존중감, 삶의 질의 관계검증과 차이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22년 10월 서울, 경기, 강원도에 거주 하는 만 65세 이상 고령자를 표집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표본은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였으며, 총 348명의 설문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25.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연구대상자의 특성을 파악 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는 One way ANOVA와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고령자의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고령자의 식습관에 따른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대한 차이는 정서적지지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령자의 올바른 생활습관을 통한 정서적지지와 평가적지지는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은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고령자 스스로 주관적인 건강한 생활을 인식하고 신체활동과 식습관을 통해 신체적 건강과 더불어 사회심리적 건강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조사 도구
3. 조사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4. 자료처리
Ⅲ. 결과
1. 요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
2. 고령자의 생활습관에 따른 연구대상 특성
3. 고령자의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삶의 질의 차이
4. 고령자의 식습관에 따른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삶의 질의 차이
5. 고령자의 올바른 생활습관을 통한 사회적지지가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