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research trends in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focusing on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For 213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rom 2016 to 2020, the type of research, evidence level, field of research, information on the first author, type of study participation, and types of research variables were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escriptive studies accounted for the highest number at 33.80%, and among the levels of evidence, level 4 was the highest at 47.89%. In addition, the number of studies at levels 1 and 4 increased compared to 2016. As for the research field,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was the highest at 28.64%, and the first author position of published papers was the highest for graduate students at 33.64%. Among the studies that included actual subjects, those targeting adults were the largest in number at 54.95%, and the highest diagnosis of the study subjects was a stroke. As the study variable, occupation/activ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was 15.28% for the descriptive study, and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the experimental study, occupation/activ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was 28.30%. In addition, as a dependent variable, the motor function was high at 26.36%.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evidence and the diversity of research fields of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It is therefore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reliable data for set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 작업치료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21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유형, 근거수준, 연구 분야, 1 저자 정보, 연구 대상자, 연구 변인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 결과로 연구 유형은 기술적 연구가 33.80%로 가장 많았고, 근거수준 중 수준 4가 47.89%로 가장 높았으며, 2016년에 비해 수준 1과 수준 4의 연구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분야는 작업 치료일반이 28.64%로 높게 나타났으며, 게재된 논문의 1 저자 직위는 대학원생이 33.64%로 가장 높았 다. 실제 연구 대상자가 포함된 연구 중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54.95%로 가장 많았으며, 연구 대상 자 진단명은 뇌졸중이 가장 높았다. 연구 변인은 기술적 연구에서 작업/활동 기반 작업치료가 15.28%였 고, 실험연구의 독립변인은 작업/활동 기반 작업치료가 28.30%, 종속변인은 운동기능이 26.36%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작업치료의 연구의 근거수준의 향상과 연구분야의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 다. 이에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연구 방향의 설정에 신뢰할 만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자료수집 방법
2. 분석 내용
3.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 유형(type of research)
2. 근거수준(evidence level)
3. 연구 분야(field of research)
4. 1 저자 정보(information of 1st author)
5. 연구 대상자(type of study participation)
6. 연구변인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