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Intertextuality of Modern Korean Traditional Costumes Represented in “The Tiger is Coming”

원문정보

“범이 내려온다”에 나타난 현대 한국전통복식의 상호텍스트성

Jeong Sook Ji, Yhe-Young Le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tertextuality represents the potential inherent in an object by reproducing and expanding the meaning innated in it. This study adopted a philosophic view to analytically examine modernization of Korea traditional costume. Fashion, as a communication medium, transfers its meaning according to different circumstances. Korean traditional clothing also has changed its appearances and has augmented its meanings by deconstructing and combining with other art forms as time pass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textuality reflected in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clothing shown in commercial clips of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The tiger is coming. The images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and analyzed based on intertextuality of music and dance. The intertextuality of music and dance was identified by analyzing coordination methods and they were analyzed through intertextuality of Time Place Occasion (TPO) and gender. As a result, it shows intertextuality of TPO with music and dance represented in the images is a harmonization of the past and present, west and east, and the public and private. The intertextuality of gender in music and dance is associated with the androgynous style which extracts a popular expression from public contexts. The mix-and-match methods by which the dance team blends the modern with the traditional of Korean costume were successful and such outcomes are most clearly evidenced in the promotional video of Korea Tourism Organiz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particular importance of intertextuality within modernization of Korea traditional clothes and attention is drawn to ways in which the insight from future studies can be used for creative formation of traditional clothes.

한국어

상호텍스트성은 한 대상에 내재된 의미를 재생산과 확장을 함으로써 그 안에 내재된 가능성을 나타나게 한다. 본 연구는 한국전통복식을 철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했다. 소통의 수단으로서 패션은 상황에 따라 다른 의미를 전달해왔다. 한국전통복식은 해체하고 다른 예술형태와 결합하여 외현을 변화시키거나 의미를 확장해왔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제작하여 배포한 홍보영상에 나타난 전통의상의 현대화를 상호텍스트성을 근거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미지는 인터넷을 통해서 수집되었으며 음악과 댄스의 상호텍 스트성 측면에서 분석했다. 음악과 댄스의 상호텍스트성은 TPO.의 상호텍스트성과 젠더의 상호텍스트성을 분석하여 코디네에션 방법에 따라 파악했다. 그 결과, TPO.의 상호텍스트성은 음악과 댄스 모두 과거와 현재, 동양과 서양,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을 적절히 조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젠더의 상호텍스트성은 여 성과 남성이 이성의 패션아이템을 착용하여 대중에게 인기있는 스타일을 차용한 앤드로지너스룩을 반영한 것이었다. 홍보영상의 댄스팀이 한국전통의상의 현대화에 대한 요구에 맞추어 사용한 믹스 & 매치 방법은 성공적이었으며 홍보영상에 속에서 가장 선명하게 증명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전통복식의 현대화를 상호텍스 트성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전통복식의 무한한 변화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전통복식의 대중화에도 도움이 되 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1. Intertextuality
2. Intertextuality and fashion
3. Intertextuality of traditional clothing
4. Intertextuality of fashion with music and dance
5. Intertextual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Ⅲ. Methods
1. Research subjects and procedure
2. Research model
Ⅳ. Results and discussion
1. Intertextuality of fashion with music
2. Intertextuality of fashion with dance
Ⅴ.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요약

저자정보

  • Jeong Sook Ji 지정숙. Concurrent Professor,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 Yhe-Young Lee 이예영. Professor,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