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the human rights of fetuses and newborns in the Western Middle Ages. There was a discrepancy in the human rights of the unborn between practice and the law. Through the analysis of medical books, folk tales, secular courts, canon law, and data related to abortion miracles in the hagiography, abortion was officially defined as murder at that time, but abortion was practiced in the lives of lay people. Although abortion was sentenced to murder in a secular court, it was later changed to a fine for various reasons. There were passages in folk tales of abortion and the killing of newborns. Of course, folk tales negatively portrayed the soul of an aborted fetus or a dead newborn. Medical literature suggested use of various herbal medicines for abortion. Also, hagiographies mention miracles of abortion for women who had illegally conceived in their early adulthood. Abortion and newborn murder were considered murders under both secular and canon law, and the human rights of the unborn child was protected. From the theologian's point of view, it can be seen that the human rights of the fetus are to be respected. Nevertheless, it can be seen that abortion was tolerated in real life for the disadvantages that illegal pregnancy would bring to the woman or the illegitimate child. In practice, the situation of women and men was more considered, particularly the social and economic repercussions of having a child were considered, abortion became an easy choice for both mothers and parents of unborn babies. And even in the miracle of abortion, women's repentance or circumstances were considered first, and the human rights of the fetus were not consider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중세인의 태아 생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서 자연유산을 제외한 낙태의 유무죄를 판단하는 법정 자료, 의학서적, 종교 서적에 나타난 낙태를 분석하였다. 잉글랜드의 의학 서적은 원하지 않는 임신을 “태중에 있는 병”으로 정의하고 처방전을 제시하였 다. 물론 중세 교회와 법정은 낙태를 중죄로 선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원칙들 이 반드시 일상의 삶 속에서도 공유되지는 않았다. 다양한 자료의 분석을 통해 서 민간인의 실제적 삶에서 인위적인 낙태와 신생아 살해가 있었음을 알 수 있 었다. 그리고 세속법에서 낙태를 살인으로 간주하여 사형을 선고해도 집행하는 과정에서 성주가 죽은 태아의 부모의 명예와 경제적 사정을 고려하여 감형을 하였다. 의학서적은 다양한 피임과 낙태 처방을 제시하였다. 종교적 차원에서 낙태에 대한 영구 파면을 기간을 축소해주기도 하고 성인이 낙태의 기적을 행 하기도 하였다. 현대 사회에서 가톨릭교회는 피임과 낙태에 대하여 완강히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중세 교회나 사회는 피임과 낙태를 엄격하게 관리 했을 것이라는 인식을 상식처럼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본 연구자의 분석에 따르 면 교회의 공식적인 입장과는 달리 실제 삶속에서는 교회와 평신도들에게 엄격 한 피임과 낙태에 대한 태도는 희석되었다. 연구를 통해서 공식적으로 태아의 생명은 존중되었으나 실제적 영역에서 태아의 부모의 상황이 더 고려되고 태아 의 생명에 대한 존중은 심각한 고려의 대상이 아니었다.
목차
Ⅱ. 의학서적에 반영된 낙태와 태아의 생명에 대한 이해
Ⅲ. 판결문에 반영된 낙태와 태아의 생명에 대한 이해
Ⅳ. 기독교 문서에 반영된 낙태와 태아의 생명에 대한 이해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