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부산지역 4·19세대의 민족문제 인식과 국가폭력

원문정보

Recognition of Ethnic Issues and State Violence among the April 19th Generations in Busan

이정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late 1950s, an unaligned Third World was formed against the international Cold War system. These countries tried not to subordinate to the great powers and their nationalism was expressed in the direction of protecting independence. Influenced by the progressive atmosphere in Busan, the oral interviewers accepted the idea of national independence, which served as their ideological basis when they participated in progressive social movements such as the unification movement, the labor movement, and the student movement after the April Revolution. The national independence they sought was to overcome political and economic domination by the United States. This was because the U.S. played some role in Rhee Syngman‘s resignation during the April Revolution. There was also a criticism that the Korea-US economic agreement signed during the Changmyeon regime deepened its economic dependence on the U.S. Regarding the unification movement after the April Revolution, Lee Jong-ryul insisted that national independence should be achieved and that the basis for unification should be laid only with the strength of the people of South Korea. This idea led to the rejection of North Korea‘s intervention to promote the unification movement and the creation of an independent movement organization with only South Korean peoples’ ability. This idea of national independence posed a threat to the military regime that came to power in the May 16th military coup. Park Chung-hee advocated strong anti-communism in order to escape from the left complex and gain legitimacy from the United States. The military regime judged that the reform orientation of the social movement promoted by the people who pursued the innovation of South Korean society was an obstacle to maintain the anti-communist system.

한국어

4월혁명이 일어나기 직전 1950년대 말에는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국제적 냉 전체제 속에서, 그 어떠한 진영에도 속하지 않는 제3세계가 형성되고 있었다. 이들 국 가들의 민족주의는 강대국에 예속되지 않으며 자주성을 지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발현 되었다. 부산지역의 진보적 분위기에 영향을 받은 구술자들은 민족자주사상을 받아들 였고, 이는 그들이 4월혁명 이후 통일운동과 노동운동, 학생운동 등 진보적 사회운동 에 몸담을 때 사상적 기초로 작용하였다. 이들이 추구했던 민족자주는 미국으로부터 정치적·경제적 예속성을 극복하는 것이 었다. 4월혁명이 때 이승만 하야에는 미국의 역할이 일정하게 작용하였고, 장면 정권 기에 체결된 한미경제협정에는 미국에 대한 경제적 종속성을 심화시킨다는 비판이 있 었기 때문이었다. 4월혁명기 통일운동에 대해 이종률은 민족자주를 성취하여 우리 민족의 힘만으로 통일의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민족자주사상은 통일운동을 추진 하는데 당시 경제적으로 우위에 있던 북한의 개입을 거부하고 남한이 자주적으로 운 동조직을 만들어가고자 하는 경향으로 이어졌다. 혁신계와 학생들의 민족자주사상은 5·16군사쿠데타로 집권하게 된 군사정권에 위 협으로 작용하였다. 박정희는 좌익콤플렉스에서 벗어나고 미국으로부터 정당성을 인 정받기 위해 강력한 반공주의를 표방하였고, 군사정권은 당시 혁신계와 학생들이 추 진하던 사회운동의 변혁지향성은 반공체제 유지에 걸림돌로 작용한다고 판단했기 때 문이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4월혁명 경험과 민족주의 인식의 대두
3. 4월혁명기 사회운동 참여와 부산지역 내 이종률의 영향
4. 5·16 이후 귄위주의 정권의 국가폭력에 대한 경험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정민 Lee, Jeongmin.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연구원, 역사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