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디지털 리터러시와 프라이버시 염려 간 관계와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영향요인 연구 :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중심으로
초록
영어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bidirectional impact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privacy concern and examined the privacy paradox phenomenon in this relationship. For the empirical analysis, SEM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ata from the Korea Media Panel Survey. Key findings indicate that digital skills and usage that consist of digital liter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ivacy concerns, and privacy concerns had a positive impact on digital literacy, confirming the privacy paradox. Finally, this research examined if the privacy paradox varie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inding that the privacy paradox was more prominent for females, for the younger groups, and for less than high school graduates. The results call for an approach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arget group when establishing education and policies to strengthen digital literacy while reducing privacy risks.
한국어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프라이버시 염려 간의 상호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이 관계에 서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현상을 살펴보았다. 실증분석은 한국 미디어패널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SEM 분석을 수 행하였다. 주요 결과,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로 구성된 디지털 역량과 활용은 프라이버시 염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프라이버시 염려는 디지털 리터러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현상이 확 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프라이버시 패러독스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살펴본 결과, 프라이버시 패러독스는 여성, 젊은층과 고졸 미만의 학력에서 더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 정보 위험 을 줄이면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강화하기 위한 교육 및 정책을 수립할 때 각 대상 그룹의 특성을 고려한 접근 방 식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s and Research Topics
2.1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Privacy Concern
2.2 Digital Literacy
2.3 Privacy Paradox
Ⅲ. Method
3.1 Data
3.2 Variables and Scales
3.3 Research Model
Ⅳ. Results
4.1 SEM Analysis Results
4.2 Multi-Group Analysis Results on Privacy Paradox
Ⅴ. Conclusion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