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Based on online corpus designed by Chinese Language Committee corpus, this study uses collostructional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to extract the top 30 verbs that are significantly attracted and repelled by the “V+着” construction and visualizes their differences. Then examines the semantic clustering of “V+着” construction and further explore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constructs and the verbs. With these analyses, the paper obtains three main findings:(1)Verbs significantly attracted by the “V+着” construction can be classified into undirected activities verbs and transitory states verbs. When undirected activities verbs with quantified object elements are recognized as incremental accomplishments verbs, or when transitory states verbs are recognized as reversible achievements verbs in different tense structures, they cannot be used in the “V+着” construction;(2)Verbs significantly repelled by the “V+着” construction can be classified into reversible achievements verbs、irreversible achievements verbs、incremental accomplishments verbs and acquired permanent states verbs. Among which reversible achievements verbs can be used in the “V+着” construction for dynamic continuity when they are recognized as verbs of directed activities verbs in different contexts;(3)The prototypical semantics of the “V+着” construction is dynamic continuity, and the main extension of the semantics is temporary resultant state continuit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국가 현대한어 통용균형 말뭉치”를 통해, “V+着” 구조의 코로스토레이션 강도(collostruction strength)를 통계하고 “V+着” 구조에 들어갈 수 있는 동사들을 분류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콜로스토리지 분석법(collostructional analysis)을 사용하여 “중국국가 현대한어 통용균형 말뭉치”로부터 “V+着” 구조가 흡인하는 동사 및 배척하는 동사를 추출하고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흡인되는 동사 및 배척되는 동사 중에서 각 전 30위의 동사를 뽑고 분석 대상으로 삼으며, 이들이 나타내는 의미 차이를 다차원 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으로 시각화분석(visualization analysis)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Croft(2012)의 동사분류법을 사용하여 뽑힌 동사를 다시 분류하고 “V+着” 구조가 나타내는 전형적인 의미 및 이차적인 의미를 탐색하였다. 위의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과를 얻었다. (1)“V+着” 구조가 흡인하는 동사는 주로 비방향적 활동 동사 및 일시적 상태 동사로 나뉜다. 비방향적 활동 동사는 양화된 목적어를 가지고 증분 완수 동사로 해석하게 되거나, 일시적 상태 동사는 사용되는 문맥에 따라 가역적 성취 동사로 해석하게 되면, 이들이 “V+着” 구조에 사용되지 못한다. (2) “V+着” 구조가 배척하는 동사는 가역적 성취 동사, 불가역적 성취 동사, 증분 완수 동사 그리고 획득한 영구적 상태 동사로 나뉜다. 그 중에 가역적 성취 동사는 사용되는 문맥에 따라 방향적 활동 동사로 해석하게 되면, “V+着” 구조에 사용되지 못하고 동태 지속의 의미를 표현한다. (3) “V+着” 구조의 전형적인 의미는 동태 지속이며, 이차적인 의미는 결과 상태 지속이다.
목차
1. 引言
2. 文献综述
3. 研究方法
4. 数据分析结果
5. 讨论
6. 结论
参考文献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