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기형 교과연계 교육연극사업>의 고찰 - 3년간의 성과와 과제, 그리고 시사점 -

원문정보

A Study on <Gyeonggi Curriculum-linked Educational Drama Project> – Three Years of Achievements, Challenges, and Implications –

김병주, 권경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chronicle, analyze, and discuss the achievements, challenges, and implications of that run from 2020 through 2022. The project’s objectives were to establish a cooperative structure between related institutions for the continuous growth of 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o foster students’ cognitive abilities and artistic sensitivity, through educational drama, by team-teaching between classroom teachers and teaching artists. The three major achievements of the project are: the teacher-artist team-teaching was successfully operated in the entire process of in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the drama lessons were implemented as enjoyable and meaningful cognitive and artistic experiences to all students; and, systematic training and expert mentoring were conducted to support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 and quality management of the project. The implications of this project are as follows: First, the arts education policy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and applied to schools; Second, teachers’ self-willingness and accountability are needed so that they can become the main agent of arts education; Third, the role and status of educational drama should be redefined through essential concerns and discourse activa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ole of human-centered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pervasive future education discourse centered on digital technology and AI.

한국어

2015 개정교육과정 시행 이후 학교 현장에서 교육연극의 외형적 확대는 이루어졌으나, 교육과정 안에서 정착하지는 못하였다. <경기형 교과연계 교육연극사업>은 2020~2022년 3년간 새로운 예술교육의 협 업모델을 시도한 사업이다. 이 사업의 목적은 2가지이다. 첫째,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 한 유관 문화기관과 교육기관 등의 협력구조 구축이다. 둘째, 교육연극이라는 예술 장르를 교사와 예술 강사 협력수업으로 교육과정 수업에 연계하여 학생들의 교과의 인지적 내용 습득과 예술적 감수성을 성 장시키는 것이다. 3년간 약 8500명의 학생과 500여명의 교사 및 예술강사가 이 사업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해당 사업의 추진 배경 및 특성, 진행 개요, 사업의 성과 및 한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사업의 성과는 3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학교현장에서 기존의 형식적 협력수업의 관행을 넘어 수업설계 및 실행의 전 과정에 교사-예술강사 팀티칭 협력수업 체제를 운영하였다. 둘째, 개개인의 재능 과 기호에 상관없이 보편적 예술교육 차원에서 모든 학생들이 즐겁고 유의미한 인지적・예술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교과와 연계하여 일상의 수업으로 실행하였다. 셋째, 참여자들의 이해와 사업의 질 관리를 위하여 체계적인 연수 및 전문가 멘토링을 실시하여 내실 있는 운영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사업이 교육연극과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에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문화예술교육정책 이 학교현장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정책과 현장의 연계성을 고민해야 한다; 둘째, 교사가 예술교육의 주체 가 될 수 있도록 자발성과 책무성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연극에 대한 본질적 고민과 담론 활성화를 통해 그 역할과 위상을 재정립해야 한다; 넷째, 디지털과 AI 중심의 지배적 미래교육 담론 속에서 사람 중심 예술교육의 역할을 고민해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교육연극, 교과연계수업, 교사-예술강사 협력수업
1. 교육연극
2. 교육과정 연계
3. 교사-예술강사 협력수업
Ⅲ. 실천적 대안으로서의 <경기형 교과연계 교육연극사업>
1. 사업 추진의 배경 및 특성
2. 사업 진행 개요
3. 사업 결과
Ⅳ. <경기형 교과연계 교육연극사업>의 성과와 과제
1. <경기형 교과연계 교육연극사업>의 성과
2. <경기형 교과연계 교육연극사업>의 한계와 과제
Ⅴ. <경기형 교과연계 교육연극사업>의 시사점
Ⅵ. 맺으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병주 Kim, Byoung Joo. 서울교육대학교 교수
  • 권경희 Kwon, Koung-Hee. 성남 탄천초등학교 교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