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예비 고령자와 고령자의 디지털소비 및 소비생활만족 수준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지역별 차이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igital Consumption and Consumption Life Satisfaction of the Pre-Elderly and Elderly: - Focusing on Differences in Region -

강수현, 임은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onsumption life satisfaction, the digital consumption and perceptions of groups classified by age and region,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onsumption life satisfaction of each group. Statistics from 「2021 Consumption Life Indicators in Korea」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 specifically, data from 3,591 respondents aged 55 or abov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onsumption life satisfaction was lower in metropolitan areas than in nonmetropolitan areas. Second, the levels of both digital consumption experiences, and competencies in digital information usage,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pre-elderly than the elderly. Age group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levels of recognition of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and ‘trust in digital consumption environment’, while regional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levels of recognition of ‘ease of problem solving’ and ‘sufficiency of education’. Finally, we found that the consumption life satisfaction levels of pre-elderly consumers in the Korean capital and metropolitan area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ir levels of digital consumption life and perception. In addition, the perceived level of ease in dealing with online transaction problems had a common effect on the consumer life satisfaction of the pre-elderly. Meanwhile, the perceived level of digital education sufficiency had a common effect on the consumer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한국어

본 연구는 지역과 연령에 따라 구분된 예비 고령자와 고령자 집단의 소비생활만족도, 디지털 소비생활 수준 및 인식 등의 차이를 살펴보고, 디지털 소비생활 수준 및 인식 관련 제변인이 각 집단의 소비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소비자원의 「2021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 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생활만족도는 지역에 따른 차이가 두드러져, 비수도권보다 수도권이 상 대적으로 저조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소비생활 수준 및 인식 관련 변인 중 디지털소비 경험과 디지 털정보이해․활용 역량 수준은 고령자보다 예비 고령자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디지털소비 여건 인식 중 ‘정보 활 용성’과 ‘디지털소비 여건 신뢰성’은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 예비 고령자가 높았던 반면, ‘문제 해결 용이성’ 및 ‘교육 충분성’은 지역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 비수도권 지역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수도권과 광역시․예비 고 령자의 소비생활만족도는 디지털 소비생활 수준 및 인식 관련 제변인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 가 운데, 예비 고령자는 디지털거래에서의 문제 해결 용이성 인식이, 고령자는 교육 충분성 인식이 이들의 소비생활 만족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고령화와 디지털화에 대응하는 소비자정책 방향 등에 대해 지역과 연령에 따른 집단별로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1. 고령화와 고령 소비자
2. 지역별 차이
3. 고령자의 소비생활 특징: 소비생활만족도 및 디지털소비 수준
Ⅲ. 연구 방법
1. 활용 자료
2. 연구 문제
3. 분석 내용 및 분석 방
4. 분석 표본의 특성
Ⅳ. 연구 결과
1. 집단별 소비생활만족도
2. 집단별 디지털 소비생활 수준 및 인식: 디지털소비경험, 디지털 정보이해․활용 역량 및 디지털소비여건 인식
3. 디지털 소비생활 수준 및 인식과 소비생활만족도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수현 Kang, Su-hyeon. 경상북도 소비자행복센터 센터장
  • 임은정 Lim, Eunjung. 기업소비자전문가협회 책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