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2022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디지털 시민성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Digital Citizenship Reflected i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이수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analyze elements of digital citizenship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o suggest improvements regarding digital citizenship which are important for citizenship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criteria were organized and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 of digital citizenship was not directly specified in the nature and goals of the curriculum. Second,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participation appeared frequently and other elements did not. Based on these results, teaching and learning related to digital literacy and the digital partition should be conducted, various elements should be dealt with in various classes, and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systematically cultivate digital citizenship at the entire school level.

한국어

이 연구는 사회과가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고,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후 디지털 시민성의 반영 양상과 교수・학습 방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시민성 분석 준거를 구성하고 2022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디지털 시민성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 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에는 디지털 시민성 요소가 직접 명시되지 않았고, 성취기준에는 디지털 리터러시 와 디지털 참여 관련 요소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해 사회과에서는 첫 째, 교육과정에 중점적으로 제시된 디지털 리터러시 및 디지털 참여와 관련하여 효과적인 교수・학습이 이루어 져야 하고, 둘째, 교육과정에 제시되지 않은 요소를 다른 성취기준의 교수・학습과 연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 며, 셋째, 전체 학교급에서 디지털 시민성을 체계적으로 함양할 수 있도록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디지털 시민성의 개념과 요소
2. 사회과 교육과정과 디지털 시민성
III. 연구 방법
1. 분석 준거
2. 분석 대상 및 분석 방법
IV. 분석 결과 및 논의
1. 공통 교육과정 ‘사회’의 성격 및 목표에 반영된 디지털 시민성
2. 공통 교육과정 ‘사회’의 초등학교급에 반영된 디지털 시민성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수진 Lee Sujin. 서울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