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프레카리아트의 불안정성과 反프레카리아트화의 공간적 실천

원문정보

Precarity of Precariat and Spatial Practice of Anti-Precariatization

임석회, 이봉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nsiders theoretically the precarity of precariat, so called precarious worker and the way of spatial practices against precariatization. The formation of precariat is closely related to the flexible system of labor by capital and the neoliberal governance of capitalist state. Thus, precarious labor is central to its precarity. The precarious labor brings about precariat’s existential crisis because it is nothing but the deprivation of place. Moreover, the precarity of precariat is also in the reproduction sphere of living space including housing. The first spatial practice for anti-precariatization is to organize precariats locally in virtue of the condition of living space. It would be the restoration of place and territory for precariat’s solidarity. Further, such place and territory would be a base for the linkage between organization on the condition of living space and organization on workplace.

한국어

이 연구는 흔히 불안정 노동자라고 불리는 프레카리아트의 불안정성과 그러한 불안정성에 대응한 反프레카리아트화의 공간적 실천 방안에 관한 이론적 탐색이다. 프레카리아트의 형성은 자본의 노동 유연화 전략과 이를 뒷받침하는 자본주의 국가의 신자유주의적 거버넌스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따라서 프레카리아트의 핵심적 문제는 불안정 노동에 있다. 불안정 노동은 일터라는 장소의 상실이라는 점에서 프레카리아트의 실존적 위기이기도 하다. 더불어 프레카리아트의 불안정성은 주거와 같은 재생산영역의 생활공간에서도 주어진다. 反프레카리아트화의 공간적 실천은 프레카리아트의 생활공간 조건을 중심으로 지역연합체를 조직하고, 그것을 통해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 정체성, 사회적 관계 형성과 같은 프레카리아트의 영토가 되는 장소의 회복이 일차적 과제이다. 다시 이것을 기반으로 생활공간 조건 중심의 조직과 일터의 조직을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축적체제의 전환과 프레카리아트 형성의 맥락
3. 프레카리아트와 불안정성의 공간적 이해
1) 프레카리아트의 핵심적 논제: 불안정성
2) 삶의 조건으로서 불안정성의 공간적 구성
4. 反프레카리아트화의 공간적 실천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임석회 Seokhoi Yim.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
  • 이봉조 Bongjo Yi. 서울연구원 초빙부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