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추파홍유(秋波泓宥)의 기문(記文)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kimun(記文) of Chupa Hongyu(秋波泓宥)

이대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upa Hongyu (秋波泓宥) was a grandson of a nobleman who served as a local governor. He had served as a Confucian scholar until he became a priest at the age of 19. He first became a disciple of Yongdam Jogwan (龍潭慥冠) and later served Hanam Seongan (寒巖性岸) as a teacher. Chupa taught his disciples during his profession of 30 years and did not neglect to offer a prayer to Buddha and practice the invocation of dharma. There are several yugi (遊記) in his literary collec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is not easy to find yusangi in the Buddhist monk's literary collection. His yusangi was mainly described by temples, so he visited the entire mountain but used the name of the temple as the title of a yusangi. The monk's participation in the writing a yusangi, which was the exclusive property of the nobleman, was characterized by the 18th century, and the yusangi of Chupa reveals a different aspect from the writings of the nobleman. Among the Chupa’s writings, the kimun that illuminates the blacksmith (considered a lower-class citizen) as a hermit is also a rarity in the monk's literary collection. Writings for the lower class were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t did not appear much in the Buddhist monk's literary collection. However, Chupa left a message illuminating the blacksmith as a hermit, showing an aspect that conforms to contemporary literary and artistic trends. This may be the result of the experience of reading as a Confucian scholar because he became a priest late.

한국어

추파홍유(秋波泓宥)는 지방수령을 지낸 양반의 손자로 태어나 유자(儒者)로 서 활동하다가 19세에 출가하였다. 출가 후 처음에는 용담조관(龍潭慥冠)의 제 자로 있다가 후에 한암성안(寒巖性岸)을 스승으로 모셨다. 이후 지리산 산청 지 곡사 등에서 30년간 종사(宗師)로서 강의하며 제자들을 가르쳤고, 염불과 화두 수행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그의 문집 추파집에는 유기(遊記)가 몇 편 실려 있는데 승려문집에서 유기를 찾기가 쉽지 않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의 유기는 사찰을 위주로 기술되었고, 그래서 산 전체를 유람하면서도 사찰명을 글의 제명으로 삼기도 했다. 사대부들의 전유물이었던 유기 찬술에 승려가 참여한 것은 18세기에 발생한 특징적 현상으로, 추파의 유기는 사대부들의 글과는 다른 면모를 담고 있는 것이다. 추파의 기문 중에 하층민인 대장장이를 은자(隱者)로 조명한 글 또한 승려 문 집에서 보기 드문 것이다. 하층민을 대상으로 삼는 글쓰기가 조선후기에 유행하였 지만 승려 문집에는 그다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런데 추파는 대장장이를 은자로 조명하는 글을 남겨 당대의 문예 조류에 부합하는 면모를 보였다. 이는 유자로 지 내던 시절에 독서했던 경험이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생애 : 유자에서 불자로
3. 기문의 양식과 주제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대형 Lee, Dae-hyung.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불교학술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