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ESG 등급과 회계이익 정보유용성

원문정보

ESG Performance and Earnings Informativeness

김영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non-financial information on the informativeness of earnings information. To this end, I analyz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and stock return differs according to ESG performance. Prior studies examining the effect of ESG on accounting information did not present consistent empirical results. Based on the two conflicting theories, they explain both the possibility that ESG firms make opportunistic accounting decisions in their financial reporting an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accounting transparency.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supplement the prior studies by examining the effect of ESG on accounting in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ccounting information users. I conduct analyses on a sample of 6,533 companies listed on the KOSPI from 2012 to 2021, and ESG performance was measured using ESG ratings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orporate Governance and Sustainability.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integrated ESG grad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and the higher the grade in the environmental and governance among the ESG area, the higher th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On the other hand, the ESG social responsibilit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This study provide additional implications for prior literature that ESG is related with accounting information. Unlike prior studie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providers to examine that ESG is related to accounting information transparency, it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examined accounting information transparency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users. By providing evi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and accounting information transparency in terms of investors' percep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supplementing controversial issues.

한국어

본 연구는 회계이익 정보유용성에 대해 비재무정보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회계이익과 주가수익률의 상관관계가 ESG 등급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ESG가 회계정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이전의 연구들은 일관된 실증결과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두 가지 상반된 이론에 근거하여 ESG가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의도에 의해 활용될 가능성과 회계투명성을 향상시킬 가능성 모두를 설명하고 있 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회계정보 이용자 입장에서 ESG가 회계정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이전의 연구결과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6,533개 기업-연도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고, 한국ESG기준원 에서 제공하고 있는 ESG 등급을 이용하여 ESG 성과를 측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ESG 통합 등급은 이익반응계수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 쳤고, ESG 세부 등급 중 환경과 지배구조 지표에서 등급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이익반응계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ESG 사회적 책 임 지표는 이익반응계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ESG가 회계정보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기존의 연구에 추가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ESG가 회계정보 투명성과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정보제공자 측면에서 살펴본 기존의 연구와 다르게 정보이용자 입장에서 회계정보 투명성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이전 연구와 차별점이 있다. 또한 ESG와 회계정보 투명성 간의 상관관계를 투자자가 인식하는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이전의 일관되지 않은 연구결 과를 보완하였다는 점에서 공헌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이론적 배경
2. 가설 설정
III. 연구 방법론
1. 자료의 수집
2. 연구모형
IV. 실증분석
1. 기술통계
2. ESG 등급과 이익반응계수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영길 Kim, Younggil. 순천향대학교 글로벌경영대학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