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교류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무용의 전파구조

원문정보

The diffusion structure of dance in the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xchange

성은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eeks to clarify the transmission structure in which court dance and civil dance exchanged in the Joseon Dynasty within the broad category of cultural exchange.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ultural diffusion theory that culture evolves through exchange with other cultures,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e of diffusion between court dance and folk dance in the Joseon Dynasty. For the analysis, I drew from Clark Wissler’s intentional and natural diffusion as well as Jeong Su-il’s direct and indirect diffusion. I collected data from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khak Gwebeom (樂學軌範), Jeongjae Mudoholgi (呈才 舞蹈笏記), Uigwe (儀軌), Eupji (邑誌) and personal anthologi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human exchange in terms of the practical factors of diffus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ance cultural exchange in the court was classified as intentional diffusion, including the two-way direct propagation among gisaengs and the one-way indirect propagation between gisaengs and audiences. Next, dance cultural exchange in the private sector was classified as natural diffusion, including the two-way direct propagation between gisaengs and entertainers and the one-way indirect propagation between gisaengs and audiences. Applying the cultural exchange theory of cultural anthropologists, this study is expected to expand the field of dance studies by providing a starting point for studying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dance from the viewpoint of cultural studies.

한국어

본 연구는 문화교류라는 큰 범주에서 조선시대 궁중무용과 민간무용이 교류한 전파 구조를 밝혀 무용의 이론적 한계성을 넘어서 새로운 시각으로 의미화 하고자 한다. 문 화는 다른 문화와 교류를 통해서 진화한다는 문화전파론을 이론적 배경에 두고, 조선 시대에 문화가 다른 궁중무용과 민간무용의 전파구조를 분석하였다. 무용문화교류의 전파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문화전파론에서 클라크 위슬러 (Clark Wissler)의 의도적 전파와 자연적 전파, 그리고 정수일의 직접전파와 간접전 파를 적용하였으며, 전파의 실천적 요인을 기녀와 관객 등으로 인적교류에 무게를 두 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무용문화교류의 전파구조를 도출하기 위하여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악학궤범(樂學軌範)』, 『정재무도홀기(呈才舞蹈笏記)』, 의궤(儀 軌), 읍지(邑誌), 개인의 문집 등을 살펴보았으며,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먼저 궁중에서의 무용문화교류는 의도적 전파로 구분하였고, 여기에서 세분화하여 도출된 결론은 첫째, 기녀와 기녀 간의 쌍방향적 직접전파 둘째, 기녀와 관객 간의 일 방향적 간접전파이다. 다음으로 민간에서의 무용문화교류는 자연적 전파로 구분하였 고, 여기에서 세분화하여 도출된 결론은 첫째, 기녀와 예인 간의 쌍방향적 직접전파, 둘째, 기녀와 관객 간의 일방향적 간접전파이다. 본 연구는 문화교류 관점에서 조선시대 궁중무용과 민간무용의 전파구조를 분석한 연구로, 문화학 관점에서 무용학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향후 무용문화교류 연구를 발전시켜 무용의 변화와 발전을 연구하는데 단초가 되었으면 한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문화교류에 대하여
Ⅲ. 조선시대 무용문화교류의 전파구조
Ⅳ. 나오며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성은미 Sung, Eun-Mi. 한양대학교 무용학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