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평양 대동강 주변 樓亭 현판들의 서예미와 문화적 특성

원문정보

The Calligraphic Beauty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ignboards on the Pavilions around the Daedonggang River in Pyeongyang

평양 대동강 주변 누정 현판들의 서예미와 문화적 특성

설경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the signboards on the pavilions around the Daedonggang River in Pyeongyang, North Korea. It is one of the studies to examine the calligraphy beauty of the pavilion signboards centering on the three major pavilions in Korea. The target of this study is the signboards of Bubyeoknu and the pavilions around it in Pyeongyang. Pyeongyang Fortress, built to defend the capital in Goguryeo 552 (8th year of King Yangwon), has some pavilions such as watchtowers and gate towers, and the signboards hanging on these pavilions are collectively called Pavilion Signboards. Because of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due to ideological differences, the Daedonggang River area in Pyeongyang is currently impossible to explore. However, the interest in this area is high because South and North Korea shared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Korean Peninsula until the 6.25 Korean War, and it is a Korean cultural art created by our ancestors. The scope of study on Pavilion Signboards is six signboards; two of , of Yeongwangjeong, , , and . The writers are Yang Sa-eon, Zhu Zhifan, Jo Gwangjin, Park Yeop, and No Wonsang, and the writer of is unknown. These signboards can be divided into those that show the artist's academic or studying process, calligraphic aesthetics, and taste, and those that do not. Through the former, I identified the artist's unique calligraphic beauty. reveals Yang Sa-eon's clear and indulgent calligraphic style. <天下第一江山> was written by Zhu Zhifan, an envoy of the Qing Dynasty, and shows calligraphic beauty that combines yin and yang. <浮碧樓> shows Jo Gwangjin's solemn and elegant calligraphic tendency. The latter are Park Yeop's , No Wonsang's <乙密臺>, and an unknown artist's <普通門>. Since the writer's academic and calligraphic aesthetics are not known for these three signboards, I examined the beauty of calligraphic script by investigat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ose signboards. I found that the pavilion signboards and their calligraphic art around the Daedonggang River had a unique beauty of calligraphy and calligraphic script along with the influence of the classical scholar culture and the aspects of the times. Just as the people of Goguryeo built Pyeongyang Castle to protect Pyeongyang, which is in an important position in terms of national defense and transportation, the calligraphic culture also reflects the dignity and triumphant spirit of a strong general to defend the capital and strengthen national defense and show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solemn and upright beauty of calligraphy. Through this study, I realized that the management of Bubyeoknu was negligent. They have not utilized the pavilion properly, and the general public has not been allowed to see it. Therefore, it is time to recall that the pavilion signboards preserved around the Daedonggang River in Pyeongyang are excellent cultural properties, and to raise awareness and management of North Korea’s cultural heritage. Thus, there should be continued interest and research on the mutual exchange and convergence of North Korea’s cultural heritage and artworks.

한국어

북한 평양의 대동강 주변의 樓亭현판들을 소재로 하는 본고는 한국의 3대 누각 을 중심으로 현판의 서예미를 고찰하는 연구의 一環으로, 평양 부벽루와 그 주변 현판 을 대상으로 하여 출발한 것이다. 고구려 552년(양원왕8)에 수도 방어의 목적으로 축 조된 평양성에 현재 보존되어있는 城門과 望樓, 성문의 門樓를 포함하여 누각에 걸린 현판들을 ‘樓亭현판’으로 통칭하고 있다. 평양 대동강 일대는 이념의 차이로 남·북한이 분단되어 있어, 현재 답사가 불가능한 지역이지만 6.25동란 이전까지 한반도의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였고, 우리 선조들이 창출한 한국의 문화 예술이기에 관심이 더욱 고조 된다. 누정 현판의 연구범위는 <大同門> 2점과 練光亭의 <天下第一江山>, 그리고 <浮 碧樓>ㆍ<乙密臺>ㆍ<普通門> 등 6점이다. 작가의 학문이나 學書과정, 서예심미와 취향 이 뚜렷한 현판, 즉 양사언이 맑고 방일한 서풍을 書寫한 <大同門>, 청의 사신 주지번 이 음유미와 양강미를 겸하여 서사한 <天下第一江山>, 조광진이 장엄하고 전아하게 서 사한 <浮碧樓> 등 3점의 서예미를 규명하였다. 또 작가의 학문과 서예심미를 뚜렷이 알 수 없는 현판, 즉 박엽의 <大同門>, 노원상의 <乙密臺>, 작가 미상의 <普通門> 등 3 점은 조형적인 특징을 밝혀 그 서체미를 규명하였다. 대동강 주변의 누정 현판과 그 서예 예술은 옛 우리 선비문화의 숨결이 닿아 시 대적 양상과 함께 독특한 서예미를 띠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고구려인들이 평양성을 축조한 목적과 시대적 상황, 대륙을 접하고 있는 반도의 지리적 조건 등으로, 평양이 국방상ㆍ교통상 중요한 위치에 있었던 것처럼, 서예 문화에도 수도를 방어하고 국방을 다지려는 굳센 장수의 위엄과 의기양양한 호기가 장엄하고 강직한 서체미로 표현되는 문화적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본연구를 통하여, 부벽루의 현재 상황은 관리가 소홀하 면서 누각의 활용도나 대중의 관람이 일반적이지 못한 상황임을 알게 되었다. 이에 평 양 대동강 주변에 보존되어있는 樓亭현판들이 훌륭한 문화재임을 想起하고 북한 문화 유산의 인식과 관리를 提高해야 할 때이다. 따라서 북한의 문화유산과 예술품에 대한 상호교류와 융합에 관하여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목차

<논문요약>
Ⅰ. 序論
Ⅱ. 작가의 서예심미로 분석한 현판
1. 양사언의 <大同門>
2. 주지번의 <天下第一江山>
3. 조광진의 <浮碧樓>
Ⅲ. 작품의 서체미로 분석한 현판
1. 박엽의 <大同門>
2. 노원상의 <乙密臺>
3. 작가 미상의 <普通門>
Ⅳ.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설경희 Seol, Kyeong Hee.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문화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