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秋史<耄耋圖>와 <南泉斬猫>의 禪味적 연계성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Zen Taste Connection between Chusa’s “Mojildo” and “Nanquan Zhanmao”

추사<모질도>와 <남천참묘>의 선미적 연계성 고찰

한용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mong Chusa Kim Jeong-hee’s works, “Mojildo (耄耋圖)” is the only painting of animals. This paper investigated Chusa Kim Jeong-hee’s “Mojildo” in connection with “Nanquan Zhanmao (Nansen Cuts the Cat in Two, 南泉斬猫),” a topic of a Zen sect This attempt is based on the fact that Chusa’s freely used the topics of Zen sect in his letters or poetry. At the time, Chusa lived in exile in Jeju for nine years (1840-1848) as a scapegoat in the political strife between the two families of Pungyang Jo (趙) clan and Andong Kim (金) clan. This paper found that Chusa’s position can be matched to the cat that was sacrificed in the fight between the monks from Dongdang (東堂) and Seodang (西堂) from “南泉斬 猫.” The fact that his posi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cat is quite significant as an analogy. Based on this idea, Chusa’s painting of the cat may incorporate the unfair sacrifice depicted in “南泉斬猫” and be connected to the Zen aesthetics that aimed to transcend from the harmful consequences of a political strife.

한국어

<耄耋圖>는 秋史金正喜의 작품 중에서 동물 그림으로 유일하다. 본 논문은 추 사 김정희의 <耄耋圖>를 禪家의 화두 <南泉斬猫>와 연계 지어 고찰하였다. 이러한 시 도는 추사가 편지나 詩句에서 禪家의 화두를 자유롭게 사용한 사례에 근거한 것이다. 당시에 추사는 풍양 趙씨, 안동 金씨 두 집안 정쟁의 희생양으로 9년간 (1840-1848) 제주 유배살이를 했다. 본 논문에서는 그런 추사의 입장이 東堂, 西堂 승려들의 다툼으로 희생당한 고양이 소재 <南泉斬猫> 내용과 부합되는 것으로 보았다. 처지가 부합된다는 것은 비유적 측면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이러한 점을 토대로 하여 추사가 고양이 그림에 <南泉斬猫>의 억울한 희생의 의미를 담고 정쟁의 弊害에서 초탈 하고자 한 禪적 심미로 연계 지었다.

목차

<논문요약>
Ⅰ. 序論
Ⅱ. <耄耋圖>
1. 猫圖의 이해
2. 畵題의 이해
Ⅲ. <耄耋圖>와 <南泉斬猫>의 禪味적 연계성
1. 秋史의 禪的審美
2. <耄耋圖>와 <南泉斬猫>
Ⅳ.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용화 Han, Yong Wha. 성균관대학교 유교철학·문화컨텐츠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