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 후기 풍속화에 내재된 도가적 풍류 미의식

원문정보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Taoist style Fengliu of Genr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강옥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tract and analyze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genre paintings with the Taoist style Fengliugenre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1700-1850) from the literary theory book Cheseong(體性) in Munsimjorong(文心雕龍). I think it is meaningful to extract aesthetic terms from the Oriental Literature Theory Book and apply them to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genre painting paintings that have a Taoist style. Munsim Joryong deeply reflects the thoughts and literary ideas of the Weijin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period, when scholarship was prevalent and the enlightenment of the spirit of the arts was widespread. In this paper, among the eight styles of Cheseong(體性) in Munsimjorong(文心雕龍), four aesthetics of Wonomi(遠奧美), Hyeonbumi(顯附美), Beonyokmi(繁縟美), and Jangryeomi(壯麗美) were applied to genre paintings with the Taoist style Fengliu. In the late Joseon Dynasty, not only the literati painters but also the painters of the middle class pursued an ideal life, and the background of the times such as the economic boom of the common people, the development of Yeohang culture, and the collapse of status led to the prevalence of genre painting. The thought for Taoism was also influenced by Taoism and Taoism introduced from China, but it is also related to our own Pungryu-do that has been handed down since ancient times. The literary people of Joseon expressed their desire to escape from the world and enjoy nature for a while with their own Fengliu.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ulture of the common people was also activated, and although the methods of enjoying the arts vary by status, they enjoyed the bandwagon in various forms.

한국어

본고의 목적은 조선 후기(1700〜1850) 풍속화 중에서 도가적 풍류성이 깃든 풍속화의 미의식을 문학 이론서 『문심조룡(文心雕龍)』「체성(體性)」에서 추출하여 분석해 보는 데 있다. 동양문학 이론서에서 미학 용어를 추출하여 도가적 풍류성이 깃든 풍속화풍 회화의 미의식에 적용해 보는 것은 의미 있다고 본다. 『문심조룡』은 현학(玄學)이 성행하고 풍류정신의 개화(開化)기인 위진남북조 시대의 사조와 문예 관념을 깊이 반영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문심조룡』「체성」 8체 풍격 중에서 원오미(遠奧美), 현부미(顯附美), 번욕미(繁縟美), 장려미(壯麗美) 4가지 미의식을 도가적 풍류성이 깃든 풍속화에 적용시켜 보았다. 조선 후기에는 사대부 문인 화가뿐만 아니라 중인 계층의 화원 출신들도 도가적 삶을 이상향으로 추구했고 서민경제 활황과 여항 문화 발달, 신분 붕괴 등 시대적 배경은 풍속화의 성행을 주도하였다. 조선의 도가적 사유는 중국에서 유입된 도가․도교의 영향도 받았으나 고대로부터 전해온 우리만의 고유한 풍류도와도 관련이 있다. 조선의 사대부들은 세속에서 벗어나 잠시나마 자연을 벗하며 자유롭게 즐기고자 하는 마음을 그들만의 풍류로 표현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서민 문화도 활성화되어 신분별로 풍류 향유 방법은 다르지만 다양한 형태로 도가적 풍류를 즐겼다.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도가적 풍류 미의식과 풍속화 풍류성
III. 풍속화에 나타난 도가적 풍류 미의식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옥희 Kang, Ok Hee.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