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張彦遠의 書畫同體論과 趙孟頫의 書畫同源論의 서화인식에 관한 비교 考察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the Thoughts of Seo (calligraphy) and Hwa (painting) based on Zhāng Yàn Yuǎn’s Theory of SeoHwaDongChe (書畵同體: Calligraphy and painting are same as each other) and Zhào Mèng Fǔ’s Theory of SeoHwaDongWon (書畵同源: Calligraphy and painting sprout from same root)

장언원의 서화동체론과 조맹부의 서화동원론의 서화인식에 관한 비교 고찰

김은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Zhāng Yàn Yuǎn advocated the Theory of SeoHwaDongChe and the Theory of SeoHwaYongPilDongBeop (書畵用筆同法: Calligraphy and painting are same in their ways of brushing). The Theory of SeoHwaDongChe is meaningful in two aspects: Zhāng Yàn Yuǎn tried to rectify the discriminative thoughts on painting that was regarded as a skill before his era, and the Theory of SeoHwaDongChe is based on the idea of the Theory of TaeGeukEumYang (太極陰陽: the Great Ultimate and Yin-Yang)’ of Book of Changes. Che of SeoHwaDongChe is identified as TaeGeuk as SeoHwa is originated from TaeGeuk. SeoHwaYongPilDongBeop is meaningful also in two aspects: Same tools are used for both Seo and Hwa, and the ways of brushing are same for both Seo and Hwa in terms of work creation. In particular, both Seo and Hwa go for same spirit as both they are based on IlPil (一筆: brushing once for a piece).The spirit for realization of creation requires the attitudes of SuGiShin (守其神: Looking after spirit) and JeonGiYil (專其 一: Closely concentrating). Zhào Mèng Fǔ’s Theory of SeoHwaDongWon is meaningful in two aspects: He emphasized the compliance with tradition through the Theory of GoEui (古意: Value of the past) to advocate invariability of YongPil (ways of brushing), which was likely to have taken over the thoughts of Zhāng Yàn Yuǎn’s Theory of SeoHwaDongChe in the aspect of relation between Seo and Hwa, and the essence of his Law of YongPil emphasized by him based on the Theory of GoEui, saying ‘Apply the way of brushing for Seo to Hwa [以書入畵]’ has the aesthetics toward Sino-cen trism suggested by Zhōngyōng. The results of this comparative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thoughts of Seo and Hwa advocated by Zhāng Yàn Yuǎn and Zhào Mèng Fǔ indicate that the discussion over Seo and Hwa led by Zhāng Yàn Yuǎn in Tang Dynasty was finally completed by Zhào Mèng Fǔ’s Theory of SeoHwaDongWon. In the discussion of Seo and Hwa led by Zhāng Yàn Yuǎn and Zhào Mèng Fǔ, Confucian thoughts lie in common. Their expressions for SeoHwa that were DongChe and DongW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both they identified that both Seo and Hwa were from TaeGeuk. Seo and Hwa are different in genre but both has commonly the thoughts that the reason and vitality of the great nature must be expressed to show the aesthetic sense sought for by literary noblemen. The core thoughts over SeoHwaDongChe and SeoHwaDongWon have the thoughts that every SeoHwa must express the reason and vitality of the great nature suggesting such thoughts as TaeGeuk and Tao as the base for existence of SeoHwa. Based on such discussion set forth above, this study has not only revealed why such thoughts as DongChe and DongWon were advocated on the thoughts of relation between Seo and Hwa but also what artistic value and aesthetic sense the literary noblemen sought for in the times of Zhāng Yàn Yuǎn and Zhào Mèng Fǔ.

한국어

장언원은 서화동체론(書畵同體論)과 서화용필동법론(書畵用筆同法論)을 주장하 였다. 먼저 서화동체론의 의의는 두 가지 점에서 논할 수 있다. 첫째, 장언원 이전까지 회화를 기예적인 측면으로 보았던, 서화의 차등적 인식을 바로 잡기 위함이었다. 둘째, 서화동체론에는『주역』의 ‘태극음양론(太極陰陽論)’ 사상이 그 배경에 있다. 이에 서 화는 ‘태극(太極)’을 근원(根源)으로 한다는 점에서 서화동체의 ‘체(體)’는 ‘태극(太極)’ 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서화용필동법(書畵用筆同法)’의 의의도 두 가지로 논할 수 있다. 첫째, ‘서 화 용구’ 사용의 ‘상통성’을 알 수 있다. 둘째, 서화동체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창작 측면에서의 ‘서’와 ‘화’에 적용되는 ‘용필법’을 대등하게 일치시켰다. 구체적으로 서의 ‘일 필서(一筆書)’와 화의 ‘일필화(一筆畵)’가 추구하는 정신은 같다고 본다. 창작에 실현에 있어 그 정신은 ‘수기신(守其神)’, ‘전기일(專其一)’의 자세를 요구하고 있다. 조맹부의 ‘서화동원론(書畵同源論)’은 두 가지 의의가 있다. 첫째, 조맹부는 ‘고 의론(古意論)’을 통해 전통을 준수할 것을 강조하면서 ‘용필’의 ‘불변성’을 주장하는데, 이런 점을 서화의 관계에 적용하면 장언원의 ‘서화동체’에 관한 정신을 이어받았을 가 능성이 크다. 둘째, 조맹부가 ‘고의론’에 입각하여 강조한 ‘서의 용필을 화의 창작에 적 용하라[以書入畵]’는 ‘용필법’의 본질은『중용(中庸)』에서 제기하는 ‘중화(中和)’ 지향 의 미학이 담겨있다. 이상 두 사람이 제기한 서화인식의 관계성을 비교 고찰한 결과 당대 장언원이 행한 서화 논의는 최종적으로는 원대에 조맹부의 서화동원론으로 완결되었다. 이들 두 사람의 서화 논의에는 유가사상이 공통적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 히 서화의 동체, 동원은 표현하는 용어는 다르지만, 서화 모두 그 기원은 ‘태극’에서 나 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서와 화는 장르는 다르다고 해도 문인 사대부들이 추구하는 미의식을 표현하는 데 있어 대자연의 이치와 생동감을 표현해야 한다는 사유가 담겨있다. 서화 동체, 동원 을 거론하는 가장 핵심적인 것은 이런 사유에 의해 표현된 작품에 대자연의 이치와 생 동감을 표현해야 한다는 사유가 담겨있고 이에 서화 존재 근거로서 태극, 도와 같은 것 을 제시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상과 같은 논의를 통해 왜 서화인식의 관계성에 대해 ‘동체’, ‘동원’ 이란 사유를 제기했는지를 밝힘과 동시에 그 같은 사유에서 창작에 임했을 때 지향하 고자 한 예술성과 미의식이 무엇인지를 밝혔다.

목차

<논문요약>
Ⅰ. 序論
Ⅱ. 張彦遠의 서화인식
1. 太極陰陽論과 書畫同體論
2. 書畵用筆同法과 書畵同體論
Ⅲ. 趙孟頫의 서화인식
1. 古意論과 書畵同源論
2. 以書入畵論과 書畵同源論
Ⅳ.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은아 Kim, Euna.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