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터넷방통융합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연구 : 일반계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f AI Education Program Based on Big Data : Case Study of the General Education High School

정예희, 김형범, 박기락, 유상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creative education program that utilizes AI education program based on big data for general education high school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ivenes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e developed a creative education progra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big data for first-yea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carried out on-site classes at schools and a validation process by experts. In order to measure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class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es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pplication, and a class satisfaction test was conducted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I education program based on big data were statistically effective to improve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independent sample t test about ‘problem discovery and analysis’, ‘idea generation’, ‘execution plan’, ‘conviction and communication’, and ‘innovation tendency’ except ‘execution’,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scores of male student and female student’ on first year high school students. Secondly, in satisfaction conducted after classes of AI education program based on big data, the average of ‘Satisfaction’, ‘Interest’, ‘Participation’, ‘Persistence’ were 3.56 to 3.92, and the overall average was 3.78. Therefore, it was investigated that there was a lesson effect of the AI education program based on big data developed in this research.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고등학교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창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학교 현장 수업과 전문가를 통한 타당화 과정을 실시하였다. 고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수업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프로그램 적용 전 · 후에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후에는 수업 만족도 검사를 적용 및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교육프로 그램이 ‘실행’, ‘여학생과 남학생의 차이’를 제외한 ‘문제발견 및 분석’, ‘아이디어 생성’, ‘실행계획’, ‘설득과 소통’, ‘혁신 성향’의 독립표본 t 검정에서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수업 후에 실시한 수업 만족도 검사에서 ‘만족도’, ‘흥미도’, ‘참여도’, ‘지속성’의 평균은 3.56 ~ 3.92이며 전체 평균은 3.78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개발한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의 수업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절차
3.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개발 절차
4. 검사 도구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1.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이 일반계고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2.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의 수업적용 후 수업만족도 분석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정예희 Ye-Hee Jeong. 정회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행정원
  • 김형범 Hyoungbum Kim. 정회원, 충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박기락 Ki Rak Park. 정회원, 송광중학교
  • 유상미 Sang-Mi Yoo. 정회원, 한성대학교 IT공과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