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술 융합(TC)

디지털교육에 대한 대중 담론 분석

원문정보

Discourses of Korean Newspaper Articles about Digital Education

허신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ring the pandemic period, when non-face-to-face education became commonplace, the discourse on digital education increased rapidly. And this is reflected in education policy. This is because most policies are influenced by public discours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influential newspaper articles to analyze public discourse on digital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2020, when COVID-19 peaked, the discourse on digital education surged, which originated from the need for efficient management of learning and students in non-face-to-face education situations. Second, the discourse discussed the problem of digital competency mainly about the problem of acquiring new skills and dealt with it most importantly. Third, the discourse of digital education was dominated by discourse from the current perspective.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erspective of what capabilities are needed for a future society. This is just because acquiring new technologies or cultivating functions cannot be seen as the whole of digital litera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the discussion on what digital competencies are needed in the future society and reflect them in education policies.

한국어

비대면 교육이 일상화되었던 팬데믹 시기를 거치면서 디지털 역량은 더욱 강조되었고, 이는 교육 정책의 변화 에 반영되었다. 많은 정책은 대중 담론에 영향을 받기 마련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교육에 대한 대중 담론을 분석하기 위해 전국 일간지의 신문기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가 정점이던 2020년 에 디지털교육에 대한 담론은 급증하였는데, 이는 비대면 교육 상황에서 학습과 학생에 대한 효율적 관리라는 현실적 인 필요성에서 비롯되었다. 둘째, 담론은 디지털 역량의 문제를 주로 새로운 기술 습득의 문제와 관련지어 논했고, 가 장 중요하게 다루었다. 셋째, 디지털교육 담론은 미래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 무엇인가에 대한 관점보다는 현재적인 관점의 담론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미래 사회에 필요한 능력이 무엇인가에 대한 관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단지 새로운 기술 습득이나 기능 함양이 디지털 리터러시의 전부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래 사회에 필요 한 디지털 역량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시키고, 이를 교육 정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1. 분석 대상
2.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분석
1. 디지털교육에 대한 담론의 급격한 변화
2. 디지털교육에 대한 주요 담론들
3. 디지털교육 담론에 나타난 특징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허신혜 HEO, SHIN-HYE. 정회원, 한남대학교 역사교육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