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술 융합(TC)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양현주, 변은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college life adjust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investigate whether or no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281 nursing students in B city and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d sobel test using SPSS/WIN 23.0. The degree of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was 3.38±0.58.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life adjustment and perceived stress(r=-.478, p<.001),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r=.617, p<.001).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had partial mediating(β=.629, p<.001) effect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college lif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and decrease perceived stress, it is necessary to development education and program that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한국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지각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B시의 간호대학생 2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지각된 스트레스 평균 2.62±0.62점, 대인관계능력 평균 3.74±0.62점, 대학생활적응 평균 3.38±0.58점이었다.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지각된 스트레스(r=-.478, p<.001)와 부적상관관계, 대인관계능력(r=.617, p<.001)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지각 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이 부분매개효과(β=.629, p<.001)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하여 지각된 스트레스를 줄이고 대인관계능력을 높일 수 있는 교 육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연구도구
4.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지각된 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 대학생활적응의 정도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
4. 대상자의 지각된 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5. 대상자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양현주 Hyun Joo Yang. 정회원,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 변은경 Eun Kyung Byun. 정회원, 경남정보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