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齊白石(제백석)의 인학(印學)적 실천 탐색

원문정보

Exploring the Humanistic Practice of Je Baek-seok

주원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e Baek-seok, who is well versed in poetry, calligraphy, painting, and sculpture, has established himself as the most outstanding painter and pavilion in the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art.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art of the pavilion was developed greatly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with the emergence of many masters of the pavilion, including Jeonggyeong, Hwanghwangseokyeo, Oyangji, Jo Ji-gyeom, Hwang Mok-bo, and Oh Chang-seok. Je Baek-seok formed an original ritual under this social background. Je Baek-seok's tactics were formed by imitating works from the Hanwi period, and he harmonized Jin Kwon, Sopan, and Janggunin while using the penmanship of the Cheonbal Shinchambi based on the "Sasam Gongsanbi." In addition, by boldly using the Danipdo method, it is possible to use the human face as much as possible while fully exhibiting the artistry of calligraphy and adding to the atmosphere of gold stone. This paper mainly analyzed and reviewed the process of Je Baek-seok's transcription transformation and humanities practice from two aspects. First, it is planned to summarize the process of Je Baek-seok's transformation into a Jeonseo. Second, Je Baek-seok's humanities practice was analyzed. This paper will further understand Je Baek-seok's humanistic ideas and practical search by clarifying the originality of Je Baek-seok's engraving art with examples of Je Baek-seok's works, and it is believed that this will provide future scholars with learning paths and rich experiences.

한국어

시문, 서예, 회화와 조각에 모두 해박한 제백석은 중국 근현대 예술사에서 가장 뛰어난 서화, 전각의 대가로 자 리매김하였다. 명청(明清)시기에 정경(丁敬), 황이(黃易), 등석여(鄧石如), 오양지(吳讓之), 조지겸(趙之謙), 황목보(黃牧 甫), 오창석(吳昌碩) 등 많은 전각 대가의 등장과 같이 전각예술은 개화기에 들어 장족의 발전을 거두었다. 제백석은 바로 이러한 사회 배경 아래 독창적인 제파(齊派)를 형성했다. 제백석의 전법은 한위(漢魏)시대의 작품을 모방하면서 형성됐는데 그가 『사삼공산비(祀三公山碑)』를 근간으로 하고 『천발신참비(天發神讖碑)』의 필의를 구사하면서 진 권(秦權), 소판(詔版), 장군인(將軍印)을 조화시켰다. 게다가 단입도법(單入刀法)을 과감하게 사용함으로써 서예 예술성 을 남김없이 발휘하면서 인면(印面)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고 금석 정취를 더 한다. 본고는 제백석의 전서 변모 과정 및 인학 실천을 주로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첫째, 제백석의 전서 변모 과정을 정리할 예정이다. 두 번째, 제백석의 인학 실천을 분석하였다. 본고는 제백석 작품을 예시로 제백석의 전각예술의 독창성을 규명함으로써 제백석의 인학 사상과 실천적 모색을 보다 더 깊은 이해를 도모할 것이며, 뿐만 아니라 이것은 후세 학자에게 학습 경로 및 풍부한 경험을 제시해줄 것이라 사료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제백석 전서의 변모과정
1. 초기
2. 중기
3. 말기
Ⅲ. 제백석의 인학실천
1. 임서 모각의 단계
2. 조지겸의 인픙수용
3. 단도측붕직충법의 창안
4. 제백석파의 확립
Ⅳ.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주원야 Zhu Yuanye. 정회원, 동아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