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 부모의 행복감이 아동의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and Parents’ Happiness on Children's Autonomy

정영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parental happiness, and children's autonomy, and to find out in detail the influence of parental attachment and parental happiness on children's autonomy.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on data from the 12th year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2019), and Pearson's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al attachment and parental happiness on children's autonomy.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ttachment perceived by children, parental happiness, and children's autonomy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among the sub-variables of parental attachment, maternal trust, paternal trust, and maternal communication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and only maternal happines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parental happiness. This means that parental attachment acts as a more important variable than parental happiness. Therefore, we need constant attention and effort to support children in a more intimate and stable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so that they can gain life satisfaction through active and proactive choices and decision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 부모의 행복감, 아동의 자율성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부모애착과 부모의 행복감이 아동의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국아동패널 12차년 도(2019년)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고,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위해 Pearson’s의 적률 상관 계수를 산출하였다. 아동의 자율성에 관해 부모애착과 부모의 행복감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부모의 행복감, 아동의 자율성은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애착의 하위 변인 중에서는 모 신뢰감, 부 신뢰감, 모 의사소통이 영향력을 나타내 는 것으로 드러났고, 부모 행복감에서는 모 행복감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 애착이 부모 행복 감보다 더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우리는 아동이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선 택과 결정을 통해 삶의 만족감을 얻을 수 있도록 부모와 더욱 친밀하고 안정적인 관계 속에서 아동을 지지해 나갈 수 있도록 끊임없는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주요변인 기술통계
2.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
3. 부모애착, 부모 행복감이 아동의 자율성에 미치는영향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정영미 Jeong Yeong Mi. 정회원, 경남도립거창대학, 아동보육복지과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