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晉唐草書筆法理論之嬗變 ——以“銀鉤”的闡釋為中心

원문정보

The Evolution of the Theory of Cursive Script in Jin and Tang Dynasties -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of “Yingou”

진당초서필법이론지선변 ——이“은구”적천석위중심

孫其明, 金昌慶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erm “Yingou (銀鉤)” originally referred to silver or silver hooks, which were later extended to include headdresses, decorations, fishhooks, crescent and other multi-layered meanings. Originally, the word “Yingou (銀鉤)” refers to a hook made of or had the colour of silver. As its meaning extends, Yingou is also used to refer to headwear, design pattern, fishhook or new moon. When introduced into calligraphy, the term comes to have the meaning of smooth, curved strokes in calligraphy works and letters, and especially it refers to the skilful handling of the brush in Caoshu (草書) and even specifically the strokes in Xiaokai(小楷). The artistic character of "Yingouchaiwei(銀鉤蠆尾)" should include two aspects: first, the strokes of the first finger are strong and smooth, and the strokes are long and short, with strong bones, rich bones and fleshy, flowing and resilient lines. The second-finger characters are very restrained, majestic and majestic, with a strong and elegant, flowing and clean, extremely grassy yet chic posture beauty. “Yingouchaiwei(銀鉤蠆尾)”, a calligraphy term in Zhangcao(章草) during Six Dynasties, shall be understood from two dimensions —the gesture of strokes and the gesture of characters. Compared to the aesthetic pursuit for descriptive, ambiguous images in Six Dynasties, manners of Caoshu(Shechaigu, Wulouhen, Zhuihuasha, Yinyinni, Feiniaorulin, Jingsherucao, Gupengzizhen, Jingshazuofei, etc.) in Tang Dynasty — the sharp changes in brushwork, the texture of strokes — resembles more closely to “Yingouchaiwei” and gives a more specific, vivid account of the writing process and the strokes. Such brushwork transforms and evolves with the maturing and enriching of the styles and forms of Caoshu. The Cursive Calligraphy of the Six Dynasties“Yingouchaiwei(銀鉤蠆尾)” to the Tang Dynasty,manners of Caoshu(Shechaigu, Wulouhen, Zhuihuasha, Yinyinni, Feiniaorulin, Jingsherucao, Gupengzizhen, Jingshazuofei, etc.) To a certain extent, it reflects the continuous comprehensive and richness of cursive calligraphy style and pen-use style.

한국어

서법예술은 한(漢)대를 거치면서 자각적 시대로 접어들었고, 이에 대량의 서법 관련 저서들이 등장하였다. 이 서적에는 서법의 본체(本體), 원류(源流), 품평(品評), 창작(創作) 등 다방면에 걸친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 “Yingou(銀鉤)”라는 용어는 처음에는 은제 또는 은색 갈고리를 지칭하였고, 이후에는 그 의미가 일반화되고 확장되어 머리 장식, 문양 장식, 낚시 바늘 또는 초승달과 같은 여러 의미로 사용되었다. 서예에 도입된 이 “Yingou(銀鉤)”라는 용어는 역사적 시기에 따라 다른 의미를 나타내었다. 서예 작품과 문자에서 매끄럽고 구부러진 획을 의미하며, 특히 초서(草書)의 붓놀림인 “Xiaokai(小楷)”의 획을 가리킨다. 이는 획이 강하고 둥글며 넘쳐흐르는 선형적 아름다움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육조(六朝)시기 장초(章草)의 서예 용어인 “Yingouchaiwei(銀鉤蠆尾)”는 획의 몸짓과 글자의 몸짓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 육조 시기는 기본적으로 서술적이고 모호한 이미지를 그려내고자 하는 미적 추구에 기초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당대 시기 초서의 방식인 절채고(折釵股), 옥루흔(屋漏痕), 추화사(錐畫沙), 인인니(印印泥), 비조입림(飛鳥入林), 경사입초(驚蛇入草), 고봉자진(孤蓬自振)、 경사좌비(驚沙坐飛) 등에서 드러나는 붓놀림의 급격한 변화와 필획의 질감은 “Yingouchaiwei(銀鉤蠆尾)”와 많은 부분에 있어 호환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붓놀림의 진일보한 직관과 세밀화라는 명확한 시대적 특징을 지니게 되었고, 그 예술적 함의 또한 더욱 생동적일 뿐만 아니라 지향성을 지니게 되었다. 이에 이러한 초서 필법은 초서 서체가 부단하게 성숙되고 초서의 양식과 형태가 풍부해짐에 따라 변형되고 진화되어 온 것임을 알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引言
Ⅱ. 「銀鉤」之義涵
Ⅲ. 「銀鉤蠆尾」之義涵
Ⅳ. 『銀鉤蠆尾』書法的融通與演進
Ⅴ. 結語
<參考文獻>

저자정보

  • 孫其明 손기명. 國立釜慶大學大 學院 中國學科 博士過程.
  • 金昌慶 김창경. 國立釜慶大學中 國學科 敎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