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뉴노멀 교육 환경에서 외국어 교수와 학습을 위한 온라인 도구 분석모형

원문정보

A Study on an Analytical Models of Online Tools for Foreig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New Normal" Educational Environment

권영숙, 최가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live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Over the past 20 years, our society has been transformed into a digital society and ubiquitous computing has expanded to all fields. As a result, a new environment has been established where anyone can access the network at any time and any place with almost no restrictions. In addition, mobile devices have rapidly spread. The learners we meet in university education today have digital habits and thinking, They are the so-called "digital natives". On that basis, university education in Korea has converted into a new paradigm, and a new form of education that combines education and network has been established. Due to the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in 2019, non-face-to-face online lectures, partially offline face-to-face lectures, and hybrid lectures that combine online and offline have been introduced and conducted. These educational methods are commonly based on the use of online tools. It is predicted that online tool-based non-face-to-face education will further expend in the future in our 'new normal' era. This study aimed at building a prototype model for an online tool analysis in order to help selecting online tools for teaching and learning foreign languages. This is premised on the assumption that education in non-face-to-face spaces as well as in classrooms can be universal and general, and that the use of online tools will expand for effective learner-centered foreign language classes in this "new normal" educational environment. To make this possible, categories were set up by observing online tool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spects and subscales, wih the helb of this analysis model, instructors or developers of educational online tools can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educational environment factor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online tools, the viewpoints of instructors and learners,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Based on this, the suitability of online tools for classes can be evaluated, as well. Through th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foreign languages including German can be taught and learned more effectively.

한국어

우리는 급변하는 사회변화 속에서 살고 있다. 지난 20여 년간 우리 사 회는 디지털 사회로 전환되면서 유비쿼터스가 모든 분야로 확대되어 언제 나 어디서 누구든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고 또한 모 바일 기기가 급속히 보급되었다. 그리고 우리가 대학교육현장에서 만나는 학습자들은 디지털 네이티브라고도 불리는 디지털 습성과 사고를 지닌 학 습자들이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대학교육은 Edu 4.0이라는 새로운 패러다 임으로 전환되어 교육과 네트워크가 접목된 새로운 교육형태가 도입되었 다. 2020년 COVID-19 팬데믹 발생으로 전 세계적으로 교육영역에서 전 면 비대면 온라인 강의, 부분적 오프라인 대면 강의 및 하이브리드형 강의 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교육방식은 공통으로 온라인 도구 활용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도구 기반 비대면 교육은 향후 ‘뉴노멀’ 시대에 더 확대될 것이라고 예견된다. 본 연구에서는 교실 현장에서뿐만 아니라 비대면 공간에서의 교육이 보편적이고 일반적으로 될 수 있다는 점과 이러한 뉴노멀 교육환경에서 효 과적인 학습자 중심 외국어 수업을 위하여 온라인 도구의 활용이 확대된 다는 가정하에 외국어 교수 및 학습을 위한 온라인 도구 선택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온라인 도구 분석을 위한 분석모형 프로토타입을 구축했다. 이 를 위하여 온라인 도구를 다양한 관점과 측면 및 하위척도에서 살펴볼 수 있도록 분석모형체계를 만들었다. 이러한 분석모형을 통해 교수자나 교육 용 온라인 도구 개발자들이 온라인 도구의 특성 및 기능, 교수자 및 학습자 들의 사용자 입장, 교육목표와 내용 등 다양한 교육환경 요인들의 연관 관 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에 온라인 도구의 적합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독일어를 비롯한 외국어가 더 효과적으로 교수와 학습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논문 초록
I. 서론
II. 온라인 도구 분석 모형 체계
A. 교육·조직적 관점
B. 도구 사용자·도구적 관점
C. 경제적 관점
III.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영숙 Yeong Sook Kwan.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교양학
  • 최가연 Gayeon Choi. 고려대학교 초빙교수, 독어독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