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당동 유적을 통해 본 중부동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중기에 대한 검토

원문정보

Review of the middle Neolithic age of the central east coast area seen through Chodang-dong Site

구자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mains of the middle Neolithic age in the central east coast area had no clear results other than those of Jigyeong-ri, Yangyang. With the excavation of Chodang-dong site, a detailed review of the middle Neolithic age became possible. In Chodang-dong Neolithic site, comb-patterned pottery, stone tools, dwellings, and Open-Air Hearths were investigated. The study of the Neolithic age in the central east coast area focused on the chronology and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Middle Age culture through comb-patterned pottery. The middle Neolithic age of the central east coast area was established under the influence of comb-patterned pottery in the Midwest area. Later, it was thought that comb-patterned pottery, which had the traditional of the southern area was excavated. The analysis was focused on the relics excavated from the Neolithic site in Chodang-dong. As a result, the lip pattern of the comb-patterned pottery is divided into a single thread and a zip line pattern. Most of the Neolithic site in Chodang-dong are the latter. Some of the site of Gangneung are the former. Comb-patterned pottery engraved with short horizontal and slanted gates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remains of Open-Air Hearths. The Open-Air Hearths of Chodangdong site was intensively used in the late Neolithic age rather than the middle. Chodang-dong Neolithic site was a large village with many dwellings and Open-Air Hearths in the middle of the Neolithic Age. In the middle Neolithic age, Chodang-dong site were the residential area south of Gyeongpo Lake. Afterwards, in the late Neolithic age, an Open-Air Hearths was installed throughout the first sand dune area. However, he lived in Chodang-dong site and did not use Open-Air Hearths.

한국어

중부동해안지역의 신석기시대 중기에 해당하는 유적은 그동안 양양 지경리 유적 외에 뚜렷한 조사 성과가 없었는데, 초당동 유적이 발굴조사 되면서 세부적인 검토가 가능해 졌다. 초당동 신석기유적은 신석기시대 중기에 형성된 마을유적으로 토기 및 석기 뿐 아니라 집자리를 포함한 다양한 유구가 확인되어 중부동해안지역의 신석기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중부동해안지역의 신석기시대 중기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빗살무늬토기를 중심으로 편년 설정과 중기문화가 성립하게 된 배경을 밝히는데 중점을 두었다. 양양 지경리 유적의 발굴조사 결과로 인해 중부동해안지역의 신석기시대 중기 빗살무늬토기는 중서부지역 구분문계 빗살무늬토기의 영향으로 성립되었으며, 후반에는 남부지역 전통의 구연부 집선문계 빗살무늬토기가 중심을 이루는 가운데 동북지역 계통의 토기들도 소량 출토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에 초당동 신석기유적의 출토 유물을 분석해 본 결과, 빗살무늬토기의 구연부 문양을 중심으로 보면 단사선문이 주류인 경우와 집선문(능형, 삼각, 제형 등)이 주류인 경우로 구분된다. 초동당 신석기유적에서는 후자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강릉 하시동, 방동리, 안인리 유적의 경우에는 전자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약간의 차이점이 확인된다. 또한 야외 화덕시설이 확인된 유적은 횡단선문, 사단선문 등의 빗살무늬토기가 주로 출토되고 있어 초당동의 야외 화덕시설은 신석기시대 중기보다는 후~말기에 집중적으로 이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초당동 신석기유적은 중기에 다수의 집자리와 함께 야외 화덕시설을 갖춘 비교적 큰 규모의 마을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신석기시대 중기의 초당동 유적은 현재까지 확인된 유구로 판단할 때, 경포호 남쪽의 허균-허난설헌 유적 주변이 중심 거주지역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신석기시대 후~말기에는 제1사구지대 전반에 걸쳐 야외 화덕시설 등을 설치하여 이용하였으나, 중기에서처럼 동지역에서의 정주를 통한 유적 점유는 이루어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목차

국문요약
I. 머리말
II. 중부동해안지역의 신석기시대 중기 인식
III. 초당동 신석기시대 마을
IV. 초당동 신석기유적의 출토유물 검토
V. 초당동 신석기유적의 성격
VI.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구자진 Koo, Ja-Jin. 한국토지주택공사 차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