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메타버스를 활용한 박물관 전시 콘텐츠 개발 - 국립민속박물관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Development of Museum Exhibition Contents Using the Metaverse - Focused on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공도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xhibition contents using the metavers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applied the four elements to the metaverse: a sense of space, mutual interaction, avatar, and economic system. First, the researcher reviewed the ways to implement a folk museum using the collections and the mirror world as the metaverse viewing contents. Secondly, the researcher suggested some folk play contents within the metaverse for senses of realism and immersion. Thirdly, the researcher used the virtual human to enhance the historical imagination. Fourthly, the researcher suggested an integrated experience model using on-line, off-line and metaverse to expand and diversify the contents. After all, the researcher suggested an integrated experience model of the museum using the metaverse and thereby, proposed that the contents of a third virtual space should be structured by linking them organically.

한국어

본 연구는 국립민속박물관의 메타버스 활용을 위한 전시 콘텐츠 개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국립민속박물관 콘텐츠 개발전략을 위해 공간감, 상호작용, 아바타 그리고 경제시스템 4가지 요소를 메타버스 내에 적용하였다. 첫째, 소장품 활용과 메타버스 관람 콘텐츠로 거울 세계를 활용한 민속박물관 구현에 대해서, 둘째, 현장감과 몰입감을 위해 메타버스 내에 민 속놀이 콘텐츠를 제시하였다. 셋째, 상황 구동에 따른 역사적 상상력 부여에 버추얼 휴먼을 활용하였다. 넷째, 콘텐츠의 확장성 및 다각화를 위한 온라인·오프라인, 메타버스를 활용한 통합경험 모델을 제안하였다. 결과로 메타버스를 활용한 박물관의 통합적 경험모델을 제안 하였으며, 온라인과 오프라인 그리고 제3의 가상공간의 콘텐츠는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통합 된 박물관 경험으로 구성해야 함을 시사한다.

목차

<국문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디지털전환 시대의 박물관 패러다임의 변화
2. 메타버스의 특징과 활용방식
Ⅲ. 국립민속박물관의 메타버스를 활용한 콘텐츠 개발안
1. 국립민속박물관 전시 콘텐츠 현황 분석
2. 메타버스를 활용한 콘텐츠 개발안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공도안 Kong Do An.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석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