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Facing with unprecedented pandemic of COVID-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role social relationship variables, such as social trust and group-efficacy, play to promote preventive behavior on COVID-19. It is investigated what impacts social trust and group-efficacy have on the perceived risk and self-efficacy, which are considered as the major variables in the previous health related theories, and the preventive behavior. The findings show that social trust has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s on group-efficacy and self-efficacy, but it has not significant impacts on perceived risk and preventive behavior. In addition, it indicates that group-efficacy significantl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elf-efficacy and a negative influence on preventive behavior, but it has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perceived risk. Furthermore, it shows that perceived risk has significant impact on self-efficacy, and both perceived risk and self-efficacy have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s on preventive behavior. Th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 trust and group-efficacy have indirect influence on preventive behavior via a mediator of self-efficacy, and thus social relationship variables play roles to activate self-efficacy, which promotes preventive behavior of COVID19. This study provides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nsights for explaining and promoting the preventive behavior of pandemic.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라는 팬데믹 상황에서 ‘사회신뢰’와 ‘집단효능감’과 같은 사회적 관 계 요인이 감염병에 대한 예방행동을 이끌어내는 데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파악 코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신뢰와 집단효능감이 기존 이론에서 예방행동을 예측하는 주요 변 인으로 제시되었던 지각된 위험과 자기효능감 그리고 코로나19 예방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구조방정식모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신뢰는 집단효능감과 자기효능감에 유의 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지각된 위험과 코로나19 예방행동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효능감은 자기효능감에는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그리고 코로 나19 예방행동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위험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각된 위험은 자기효능감에 그리고 지각된 위험과 자기 효능감은 각각 코로나19 예방행동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신뢰와 집단효능감은 예방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기 보다는, 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해주며, 이로써 사회신뢰와 집단 효능감과 같은 사회 적 관계 요인은 자기효능감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예방행동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 다. 이에 대한 연구는 감염병 위험 상황에서 사회적 관계 변인이 어떻게 예방행동을 이끌어내는 지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해주며, 방역당국으로 하여금 예방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어떤 전략이 필요한지 이에 대한 실무 차원의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사회신뢰
2) 집단효능감
3) 예방행동 결정요인으로서의 지각된 위험과 자기효능감
4) 연구가설 및 연구모델
3. 조사방법
1) 자료수집 및 표본의 특성
2) 변인 측정
3) 자료 분석
4. 연구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2) 모델 적합도 및 가설 검증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Human Decision Process, 50, 179-211.
- 2An, S., Jeong, J. S., & Chung, S. (2019).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erception of risk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e effect of media environment, age-friendly environment, and social capital, and the moderating role of age.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Telecommunications Research, 108, 40-77.
- 3Ang, T., Wei, S., & Arli, D. (2021). Social distancing behavior during COVID-19: A TPB perspective. Marketing Intelligence & Planning, 39(6), 809-824.
- 4Armitage, C. J., & Conner, M. (2001). Efficacy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 meta-analytic review.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0(4), 471-499.
- 5Babrow, A. S., Black, D. R., & Tiffany, S. T. (1990). Beliefs, attitudes, intentions, and a smoking cessation program: A planned behavior analysis of campaign development. Health Communication, 2, 145-163.
- 6Bae, N., Park, S., & Lim, S. (2014). Factors associated with adherence to Fecal Oocult blood testing for Colorectal Cancer screening among adults in the Republic of Korea.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8(1), 72-77.
- 7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 8Bandura, A. (1980). Gau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judgment and act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4(2), 263-268.
- 9Bandura, A.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 122-147.
- 10Bandura, A. (1995). Self-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