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이 학교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범죄두려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 of Youth's Domestic Violence Experience on School Violence Tolerance : Moderating effect of fear of crime

박다윤, 이창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espite active research on fear of crime damage, crime fear has been mainly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studies conducted until recently. Research as a moderating effect on how crime fear accurately affects crime has not been actively conducted so far, so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internal tension among Agnew's theory of tension. The inner tension of fear will have a noticeable effect on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 its original nature. Therefore, this study presupposes that fear of violence, that is, fear of crime, will act as an internal tension for socially disadvantaged adolescents, especially if they are chronically tense with violence at home, which can be their psychological and social resting place. Therefore, we tried to analyze the effects of domestic violence damage experience based on social learning theory and fear of crime damage based on general tension theory on youth violence tolerance, especially school violence tolerance. The analysis data used the items surveyed on 600 second-yea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mong Gyeonggi-do residents' attitudes toward violence (youths) conducted by the Gyeonggi-do Family and Women's Research Institute in 2015.

한국어

범죄 피해에 대한 두려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 진행된 연구들에서 범죄두려움은 주로 종속변수로 사용되어왔다. 범죄두려움이 정확하게 범죄 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조절 효과로서의 연구는 지금까지 활발히 진행되지 않은바, 이를 Agnew의 긴장이론 중 내적 긴장으로 여기고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두려 움이라는 내적 긴장은 그 본래 성질적으로 사회적 약자에게 두드러지게 영향을 줄 것 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폭력에 대한 피해 두려움, 즉 범죄 피해 두려움이 사회적 약 자인 청소년에게 내적 긴장 요소로 작용할 것이며 특히나 본인의 심리적, 사회적 안식 처가 될 수 있는 가정 내에서의 폭력 경험이 있는 만성적 긴장 상태라면 더욱더 유의 하게 작용할 것이라 전제하였다. 따라서 사회학습이론에 근거한 가정폭력 피해 경험과 일반긴장이론에 근거한 범죄 피해 두려움이 청소년의 폭력 허용도, 특히 학교폭력 허 용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경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2015년 경기도가족여 성연구원에서 실시한 경기도민의 폭력에 대한 태도 조사(청소년) 중 중, 고등학교 2학 년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 된 항목을 활용하였다.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다윤 Dayoon Park. 동국대학교(서울) 일반대학원 경찰행정학부 석사과정
  • 이창배 Changbae Lee. 동국대학교(서울) 경찰사법대학 경찰행정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