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ystemic Review on acculturative stres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living in South Korea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n acculturative stres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derive insight for further research by us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 Based on four web databases, KISS, KCI, e-Article, and RISS, 168 articles on the acculturative stres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ublished by October 15, 2022, were searched by using the following keywords, acculturative stress, multicultural adolescents. 48 articl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after excluding those that were unrelated or inappropriate through quality assessment with Qualsyt. As a result, the variables related to acculturative stress were largely identified as psychological factors, school life-related factors, and family and parent factors. As psychological factors, self-esteem and depression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followed by school adaptation and family support respectively. In most studies, acculturative stress and self-esteem were negatively correlated, which affects school adaptation. Family and parent support play a positive role in alleviating acculturative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follow-up research and practical intervention were suggest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고찰방법을 통하여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 스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피고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한국학술 정보(KISS)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학술교육원 (e-Article) 총 4개의 데이터베이스에 다문화청소년, 문화적응을 키워드로 조합하 여 기간에 제한을 두지 않고 2022년 10월 15일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다문 화청소년 문화적응 스트레스 문헌 총 168건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4단계를 거쳐 관련이 없거나 질평가(Qualsyt)를 통해 부적합한 문헌들을 제외하고 최종 48건 의 문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관련된 변인으로는 크게 심리적 변인, 학교생활관련 변인 및 가족 및 부모 변인으로 파 악되었다. 심리적 변인으로는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대한 분석빈도가 높았으며, 학교변인의 학교적응과 가족변인의 가족지지에 대한 분석빈도가 높았다. 대부분 의 연구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은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이는 학교적응에도 영향을 미치며 가족 및 부모의 지지는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완화 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 및 실천적 개입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다문화청소년의 정의 및 특성
2. 문화적응 스트레스
III.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문헌의 검색과정 및 선정기준
2. 논문의 질 평가 및 분석방법
IV. 연구 결과
1. 일반적 특성
2. 문화적응 스트레스 측정도구
3. 문화적응 스트레스 관련 변인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