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악 과목 선택권 확대를 위한 고등학교 국악 신설과목 개설 현황과 인식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of New Gugak Courses for High Schools to Expand the Right to Choose Gugak Courses

정은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new courses and analyzed the perception and demands of students through a survey to expand the right to choose gugak courses. The content an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policy support to raise awareness in the field, such as sharing the current status of new gugak courses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openings. The support should include sharing information on courses approved by cities and provinces and consulting on challenging areas that each school level cannot address. It is also necessary to discover the best practice for managing new gugak courses and contemplate how to develop and distribute a model applicable to regular high schools. Second, it s necessary to discuss the expansion of the right to choose gugak courses. Students from schools in rural towns and villages were less satisfied with the right to choose music courses than those in metropolitan cities or small and medium ones. Having overcome this, gugak courses should reflect the demand of students,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schools. Arts-related high schools and regular high schools should share all the matters of schools, and a consultative group should be formed, transcending schools and grades and crossing regions and spaces. Third, the right to choose gugak courses is guaranteed from the satisfaction of gugak classes. As a result of identifying a correlation between music class satisfaction and the demand for expanding the right to choose music cours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was very significant.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gugak classes leads to the demand for a more advanced gugak curriculum. The invigoration of new gugak courses should be discussed in terms of courses that students demand and are satisfied with, not compulsorily opening courses by the school. Fourth, gugak courses should be composed of educational content to help students experience gugak in real life and foster pride in Korean culture. Students responded that gugak courses are important because they allow learners to experience gugak in their lives, foster pride in Korean culture, and develop gugak competencies. It is hoped that specific measures to manage new gugak courses will be discussed in follow-up studi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국악 과목 선택권 확대를 위해 신설과목 현황을 조사하고,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 사항을 설문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국악 신설과목 현황을 공유하고, 개설 정보를 제공하는 등 현장의 인식 제고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시ㆍ도가 승인한 과목에 관한 사항을 공유하고, 단위 학교가 해결 하기 어려운 분야를 컨설팅하는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또 국악 신설과목 운영의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일반고에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여 배포하는 방법도 고민해야 한다. 둘째, 국악 과목 선택권 확대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읍ㆍ면지역 소재 학교의 학생들이 광역시나 중소도시 학생들보다 음악 과목 선택권에 대하여 만족도가 낮았다. 이를 극복하고 국악 과목이 학교의 소재와 상관없이 학생의 수요를 반영한 과목이 되어야 한다. 예술 계열 고와 일반고가 학교의 제반 사항을 공유하고, 탈 학교ㆍ탈 학년, 지역과 공간을 넘나드는 차 원의 협의체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국악 과목 선택권은 국악 수업 만족도로부터 보장된다. 음악 수업 만족도와 음악 과 목 선택권 확대 요구도 간 상호 관련성을 파악한 결과, 두 요건의 상관관계가 매우 유의미하 였다. 학교 국악 수업을 만족하는 학생은 더 심화한 국악 교과에 대한 수요로 이어진다. 국악 신설과목의 활성화는 학교가 강제적으로 과목을 개설하는 차원이 아닌, 학생들이 요구하고 만족하는 수업의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넷째, 국악 과목은 실생활 속에서 국악을 경험하고,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길러 줄 수 있는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학생들은 국악 과목이 중요한 이유가 생활 속에서 국악을 경험하게 하고,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길러주고, 국악 역량을 길러주기 때문이 라고 응답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국악 신설과목 운영의 구체적인 도입방안이 논의되기를 기대해본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정은정 Jung, Eun-Jung. 포항고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