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7~18세기 중·한·일 청화백자의 꽃문양 비교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lower patterns of Chinese, Korean, Japanese white and blue Porcelain in the 17th and 18th centurise

왕일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white and blue porcelain originated in China and East Asia was greatly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Ceramic manufacturing techniques would be introduced to Korea and Japan in turn. The local culture was also incorporated into the ceramics, resulting in ceramics with national characteristics. The floral motifs are not only traditional decorative motifs, but also contain meanings such as 'hope', 'good luck', 'happiness'. there before widely used in white and blue porcelain, especially in the 17th to 18th century. This study is a comparative study of floral motifs on Chinese, Korea, and Japanese white and blue porcelain form the 17th to 18th centuries, with the hope of introducing the unique expression of white and blue porcelain painting in each country through floral motifs. For this purpose, the period background or the classification of each of celadon white porcelain patterns in China, Japan, and Korea is examined and analyzed in Chapter 2. Chapter 3 compared and analyzed the types, shapes, symbols, and decorative techniques of the three countries and the types of white and blue porcelain pigment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ully understand the process of classification and change of this traditional floral pattern, and to utilize it in the future when creating my own works.

한국어

청화백자는 중국에서 유래한 것으로 동아시아는 중국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도자기 기술은 한 국과 일본에 차례로 도입된다. 또 한 그 지역의 문화를 녹여 나라마다 각 민족적인 특색을 가진 도자 기를 형성하였다. 꽃문양은 전통 장식문양일 뿐만 아니라, ‘희망', ‘길상', ‘행복' 등 의미로 담고 있어 17~18세기 청화백자에 널리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17~18세기 중⦁한⦁일 청화백자의 꽃문양 비교 연구를 통해 나타난 각 나라만의 청화백 자의 회화적 표현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중⦁한⦁일 청화백자의 시대적 배경이나 청화백자 문양의 시대별 분류를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17~18세기 중⦁한⦁일 청화백자의 꽃 문양의 유형, 형태, 상징성 및 3개국의 장식기법과 청화백자 안료(顔料)의 종류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 같은 전통 꽃문양의 분류나 변천 과정을 충분히 이해하고자 하며 앞으로 본인 작품을 창작할 때 활용하고자 한다.

목차

개요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청화백자에 대해 이론적 고찰
1. 중·한·일 청화백자의 시대적 배경
2. 청화백자 문양의 시대별 분류
Ⅲ. 17~18세기 중·한·일 청화백자의 꽃문양 비교와 분석
1. 꽃문양의 분류와 상징성
2. 꽃문양의 상징적 의미 비교
2-1) 모란 문양
2-2) 국화 문양
2-3) 연꽃 문양
3. 꽃문양의 형태 비교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왕일천 Wang, Yi-qian. 중앙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